인상 깊은곳/대구 북구
대구 경북 상생장터
가끔 가는 산격 시장에 얼마 전부터 '상생 장터"란게 생겨 궁금하게 생각하던 차에 교육박물관
들린 후 잠시 보게 되었다
별 다른 정보가 없어 2021,9,15일자 한국일보에 난 기사를 요약해 보면
대구·경북 1호 상생 장터가 문을 열었다. 2018년 8월 대구·경북 한뿌리 공동선언문 발표 이후
3년여 준비 끝에 빛을 보게 됐다.
개장식에서 대구은행과 대구상공회의소가 취수원 다변화 지역인 구미지역 농특산물 상생
구매 의향서를 농민 대표들에게 전달했다.
또 상생 장터 안에 ‘대구·경북 상생 구미 특별관’도 운영한다.
상생 장터는 시장기능이 약화한 산격종합시장을 대구시가 30억 원을 들여 최신 시설로
리모델링한 뒤 대구·경북 도농 상생 직매장으로 탈바꿈했다.
지하 1층 가 나 동의 노후 점포 960을 고쳐 농수축산물 상설판매장 66개 점포와
커뮤니티센터,홍보관 등을 갖췄다. 위층에는 대구시 청년몰이 입주해 있다.
지난 6월 리모델링 공사를 마쳤다. 7월 말까지 직매장에 참여할 농가를 선정하였다
참여 농가는 291 농가에 이른다. 이들은 장터와 납품 계약을 하고 직접 생산한 과실류와
엽채류,농산물 가공품 등 800여 품목을 납품하고 있다.
상생 장터는 무엇보다 농산물 1일 유통으로 신선하며, 생산자-판매자-소비자로 유통단계를
가격이 합리적이라는 게 장점이다.
게다가 품질을 경북도가 보증한다. 운송 거리가 줄어 탄소 배출량 감소 효과도 기대된다.
생산 농가가 직접 매일 오전 9시까지 매장에 진열, 가격까지 책정하면 전문 판매원이
판매하는 직거래 방식이다.
생산자들에게는 2~4주 간격으로 납품 대금을 정산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직매장 운영에 필요한 정규직 4명과 임시직 6명을 채용했다.
연 매출 57억 원이 넘으면 자립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5년간 연간 6억 원가량의 장터 운영비를 대구시와 경북도가 절반씩
지원할 방침이다.
납품 농가도 350 농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 대구·경북홍보관에선 우수상품, 지역 맛집 연계 시식 코너, 밀키트(식사 꾸러미) 사업,
기타 이벤트 등 홍보 마케팅을 지원할 방침이다. "
언제 시장에 나올 때 이곳을 찾아 물품 구매를 해 보아야겠다
맞은편 교육박물관에 주차 시설을 확충하는 방향이 빨리 협의되어 주차 편의성이 있어야
많은 분들이 이용할 수 있지 싶다
'인상 깊은곳 > 대구 북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대구 북구 ) 연암공원,연암산 (114) | 2022.02.03 |
---|---|
대구 칠곡 천년 숲길-운암지~조야동 (148) | 2022.01.24 |
대구 경북 상생장터 (72) | 2022.01.07 |
(대구 북구 ) 12월의 하중도 (124) | 2021.12.30 |
대구 하중도-코스모스,억새 ( 9월 20일) (94) | 2021.10.01 |
대구 하중도-댑싸리.핑크뮬리.시계꽃 ( 9월) (122) | 2021.09.24 |
'인상 깊은곳/대구 북구'의 다른글
관련글
- 이전 댓글 더보기
-
-
-
유통단계를 줄이고 1일 유통을 하는 마켓인데다가 품질을 경상북도가 한다니 정말 매력적인 장터입니다. 사진으로만 봐도 품질이 상당히 좋을 걸 알겠어요. 근처에 있으면 지금 당장 장보러 가고 싶을 정도예요. 그런데 매장에 손님들이 많지 않아 보여요. 아마 COVID 여파를 받는 듯 해서 마음이 안 좋습니다.
답글
공공님 블로그 껍데기 바꾸셨어요? 지금 보통 때처럼 댓글 달고 있다가 갑자기 뭔가 달라진 걸 눈치채고 다른 블로그에 잘 못 왔는 줄 알고 다시 확인했어요. ㅎㅎㅎ
새 껍데기와 공공님 블로그 잘 어울려요. ^^* -
-
-
-
주차공간이 최우선인 것 같네요.
답글
많은 사람들이 활용했으면 하네요.ㅎㅎ
블로그 분위기가 바뀐듯...
한참을 헤맸슴다.ㅋㅋ -
-
-
-
-
-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장터인 것 같습니다.
답글
아직 홍보가 많이 안 되었는가 보네요. 손님들이 눈에 띄지 않네요. -
lotusgm 2022.01.08 20:02
답글
서로 상생...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투명하지 못한 유통단계로 생산자는 제 값 못받고
엄한데 돈이 흘러들어가 소비자는 소비자대로 비싸게
사먹고 있는 농산물들이 특히 많죠.
-
-
-
-
상생 장터 유통단계를 줄여서 함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게 도와 주는 군요.^^
답글
저희 동네에도 농협에 근처 농가에서 직접 가져와서 판매를 해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농산물이 있더라구요.^^ -
-
대구는 뭔가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하는것 같아요~
답글
소비자와 생산자가 합리적인 가격으로
만날 수 있는 장소인것 같아 좋은데요~
상생장터가 다른 지역으로도 널리 퍼졌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