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송광사는 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이다.
전국 수천개의 절을 다 가 볼수는 없겠지만 교구 본사 정도는 한번씩 다녀 와야겠다고 생각을 했었다.
이번에 송광사를 다녀 옴으로 특별 교구를 제외한 25개 교구 본사중 12번째로 방문하게 되었다.
송광사(松廣寺)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조계산 북쪽 기슭에 자리잡은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이다.
합천 해인사(법보사찰), 양산 통도사(불보사찰)와 더불어 한국 삼보사찰로 불리고 있다.
신라 말엽에 혜린대사(慧璘大師)가 작은 암자를 짓고 길상사(吉祥寺)라 부르던 것을 시작으로 보조국사 지눌이 정혜사
(定慧社)를 이곳으로 옮겨와 수도, 참선 도량으로 삼은 뒤부터 승보사찰이 되었다.
한국의 삼보 사찰은 경남 양산의 통도사, 경남 합천의 해인사 그리고 전남 순천의 송광사이다.
통도사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있기 때문에 불보사찰(佛寶寺刹), 해인사에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팔만대장경의
경판이 모셔져있기 때문에 법보사찰(法寶寺刹), 그리고 송광사는 한국불교의 승맥(僧脈)을 잇고 있기 때문에 승보사찰
(僧寶寺刹)이라고 한다.
조계종 교구 본사 현황
직할교구 | 총무원 | ![]() |
[110-170] 서울 종로구 견지동-45번지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 02-2011-1930 |
제2교구 | 용주사 | ![]() |
[445-370] 경기 화성시 송산동-188 | 031-234-0040 |
제3교구 | 신흥사 | ![]() |
[217-120] 강원 속초시 설악동-170 | 033-636-7393 |
제4교구 | 월정사 | ![]() |
[232-941]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63 | 033-339-6800 |
제5교구 | 법주사 | ![]() |
[376-863]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209번지 | 043-543-3615 |
제6교구 | 마곡사 | ![]() |
[314-872]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567번지 | 041-841-6221 |
제7교구 | 수덕사 | ![]() |
[340-921]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20 | 041-337-6565 |
제8교구 | 직지사 | ![]() |
[740-812] 경북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216 | 054-436-6174 |
제9교구 | 동화사 | ![]() |
[701-430] 대구 동구 도학동-35 | 053-982-0101 |
제10교구 | 은해사 | ![]() |
[770-892] 경북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479 | 054-335-3318 |
제11교구 | 불국사 | ![]() |
[780-400] 경북 경주시 진현동-15 | 054-746-9912 |
제12교구 | 해인사 | ![]() |
[678-895]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208 | 055-934-3000 |
제13교구 | 쌍계사 | ![]() |
[667-824]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208 | 055-883-1901 |
제14교구 | 범어사 | ![]() |
[609-350] 부산 금정구 청룡동-546 | 051-508-3122 |
제15교구 | 통도사 | ![]() |
[626-861]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583 | 055-382-7182 |
제16교구 | 고운사 | ![]() |
[769-820] 경북 의성군 단촌면-구계동 116 | 054-833-2324 |
제17교구 | 금산사 | ![]() |
[576-962]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39 | 063-548-4441 |
제18교구 | 백양사 | ![]() |
[515-854]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26 | 061-392-7502 |
제19교구 | 화엄사 | ![]() |
[542-853]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12 | 061-782-7600 |
제21교구 | 송광사 | ![]() |
[540-933] 전남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12 | 061-755-0107 |
제22교구 | 대흥사 | ![]() |
[536-811]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799 | 061-534-5502 |
제23교구 | 관음사 | ![]() |
[690-121] 제주 제주시 아라1동-387 | 064-724-6830 |
제24교구 | 선운사 | ![]() |
[585-932]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500 | 063-561-1422 |
제25교구 | 봉선사 | ![]() |
[472-864]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 | 031-527-1951 |
특별교구 | 군종특별교구 | ![]() |
[140-013]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1 | 02-749-8646 |
해외특별교구 | 미국동부해외특별교구 | [-] 104 Route 303, Tappan, NY10983 U.S.A.- | 845-359-5151 | |
|
( 조계종 사이트에서 옮겨옴)
또한 이곳에는 4점의 국보와 27점의 보물 그리고 천연기념물 1점이 있고,송광사 전체가 사적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아울러 송광사,선암사 일원이 국가명승으로 지정 관리 되고 있다.
규모가 큰 사찰이고 시간이 많지도 않고 출입이 금지된 구역이 많아 일일이 다 사진을 찍지는 못했다.
송광사는 고려 명종 때 이미 80여 동의 건물을 가진 대사찰이었고, 1951년 공비들에 의하여 소실되기 전만 하여도 건물
총수가 80여 동을 유지하고 있었다. 현재는 약 50여 동의 대사찰로 그 사격(寺格)을 유지하고 있다. 중요한 건물은
대개가 서향하여 있다.
송광사 출입문 여기서 입장료를 받는다.
승보사찰 송광사표지석
공양간
대웅보전
대웅보전은 송광사의 중심건물이다. 1951년의 화재로 불탄 뒤 1961년에 주지 금당(金堂)이 중창하였다. 그 당시에는 내부에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1구(軀) 봉안하였고, 건물은 전면과 측면 각 3칸이었다. 그 뒤 1988년의 중창 때, 평면 넓이 108평의 ‘아(亞)’자 형의 건물을 다시 세웠으며, 내부에는 석가모니불과 연등불·미륵불 등의 삼존불을 봉안하였다.
지장전
전면과 측면이 각각 3칸인 지장전은 유명계(幽冥界)의 시왕(十王)을 봉안하였으므로 일명 시왕전이라고도 한다.
승보전
스님들의 수행공간이다.
보물 제 302호 약사전
송광사 안에서 규모가 가장 작은 법당이다. 건물 양식이 독특하며 내부에는 약사여래상과 후불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보물 제303호 영산전
내부에는 석가여래의 소조상을 비롯하여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 석가여래의 일생을 묘사한 팔상탱화(八相幀畵)가 봉안되어 있다. 중앙의 영산회상도는 1725년에 만들어졌고, 화승(怜僧)은 의겸(義謙) 등이다. 팔상탱화 역시 같은 시대에 이룩되었으나, 각기 다른 15명의 화승에 의해서 이룩되었다.
관음전
관음전은 1903년에 건립되었으며, 관음전의 뒤쪽 언덕에는 보조국사의 부도탑이 있다. 높이 250㎝의 탑은 고려 말기의 특징을 보이고 있고, 4각 기단 등은 대체로 딱딱한 감을 주고 있다. 그 옆에는 ‘佛日普照國師甘露之塔(불일보조국사감로지탑)’이라고 쓴 오세창(吳世昌)의 글씨가 있다.
세월각,척추각
일주문 뒤쪽에 4방 1칸씩의 몹시 작은 건물이 두 채 있는데, 현판에 척주각·세월각이라 하였다. 다른 절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건물이다. 죽은 이의 위패를 모시는 곳으로, 재식시(齋式時) 영가(靈駕)의 관욕처(灌浴處)가 된다고 한다. 즉, 망령도 남녀를 갈라서 척주각은 남자 영가를 위한 관욕소이고, 세월각은 여자 영가의 관욕소가 된다. 영가가 절에 들어오기 전에 이 관욕소에서 목욕을 하는 것으로 생각한 것이다.
빨리 가자는 말이 야속하게 들린다.
문화재 탐방으로 온게 아니고 일행이 있어 문화재를 일일히 보고 오지 못한게 아쉬움으로 남았으나 다음에 다시 찾을
이유를 남겨 놓고 오게 되었다.
'인상 깊은곳 > 산_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동대봉산(무장산) 무장봉 등산 코스 (108) | 2018.11.21 |
---|---|
송광사 암자 불일암-법정 스님이 계신곳 (104) | 2018.11.19 |
한국불교 승보총림 순천 송광사 (96) | 2018.11.16 |
경주 동대봉산(무장산) 무장봉 - 억새 명소 (97) | 2018.11.15 |
설악산 봉정암 가는길 ① ( 백담사 ~ 영시암 ~ 수렴동대피소 ~쌍폭포 ~ 봉정암) (104) | 2018.11.14 |
2018 단풍 나들이-순천 조계산 송광사 가는길 (96) | 2018.11.09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송광사도 단풍이 정말 예쁜 곳이죠.
지난 주에 가보려 했었는데 다른 곳으로 샜습니다.^^;;ㅎㅎ
선암사와 둘 함께 둘러보면 더 좋구요~
이번에 선암사도 갈려 했는데 복잡해서 도저히 안되겠더군요.
다음 기회가 잇을거라 생각을 합니다.
송광사 가을 단풍이 참 아름다워요
송광사 단풍 정말 고왔습니다.
송광사 단품이 정말 좋네요. 잘 보고 갑니다.^^
한번 가을철에는 들러볼만 합니다.^^
가을의 사찰은 정말 아름답군요. 단풍과 푸른 하늘... 저도 둘러보고 싶어집니다
가을엔 산과 사찰을 한번씩은 찾게 되는것 같습니다.
규모가 큰절로 에전부터 잘알려진 절이지요
잘보고 갑니다.
정말 규모가 상당했습니다.
다시 찾고 싶은 사찰입니다.
송광사 대웅보전은 우리나라에서 최고 아름다운 목조건물이라도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108배를 상징하는 108평 면적의 겹팔작지붕 대웅보전은 그 자체가 경배의 대상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
亞자형의 건물이 정말 특이 했었습니다.
108평 면적이로군요^^
아름다운 송광사!!
사찰구경 잘하고갑니다.
단풍도 막바지인가보네요 아름답습니다!!
이제 단풍은 내년을 기약해야겠습니다.^^
송광사에는 가을이 가득 담겼습니다.
10월,11월초는 전국 어디나 좋은것 같습니다.
규모가 엄청난 사찰이군요.@_@ 가을, 산, 사찰. 참 잘 어울리는 조합이네요.^^
한국의 삼보 사찰 답더군요.
다시 가 볼 사찰입니다.
통도사는 얼마 전에 갔다왔는데 사진보니 범어사에도 한번 갔다와야겠네요. 모르고 가는 것보다 알고 가면 훨씬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게 다녀 오시면 방문길이 훨씬 의미가
있으실듯 합니다.^^
이 곳 가본적 있어요.
사찰 자체도 볼만하지만 가는 길이 더 멋들어진 곳이지요.
그러셨군요.
시간을 가지고 가면 좋을곳입니다.
여유있게 보지 못해 조금은 아쉬움이 남으셨을 것 같아요.
송광사에는 가보지 못했네요.
건물들이 참 아름다운 느낌입니다. ^^
선암사도 못 가봐 아쉬움이 좀 있습니다.
그렇지만 나중에 다시올 핑계거리를 만들어 왔으니 그걸로 충분합니다 ㅎ
위용이 대단해보이는 삼보사찰 중 하나 순천 송광사네요.
빨리 가자 재촉해 더 많이 못봐 아쉬움도 있었군요.
ㅎ 아쉬움을 뒤로 하고 왔습니다.
부모님 댁에 가는 길에 통도사가 있는데~
이번달에 한 번 가봐야겠어요 ^^
네 한번 들러 보시면 좋습니다.
정말 옛 건축들은 멋지고 신비롭기까지 해요.
보존이 잘돼서 많은 이들이 보고 느꼈으면 좋겠어요.
그나저나 다 못보고오셔서 아쉽지만..그래도 다음을 기약할 수 있으니 슬프지만은 않겠어요. ^^
보고있으니 왠지 마음이 편안해지고 좋습니다. 굿밤되세요.
다음에 다시올 이유를 두고 왔습니다.
조만간 다시 왔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약사전과 영산전은 보물이라 그런지 규모는 작아도 모양과 색감이 엄청 화려하네요! 덕분에 잘 둘러봤습니다 편안한 일욜 되세요^^
문화재를 제대로 못보고 와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선암사는 가봤는데, 송광사는 아직 못가봤어요.
다음에는 기필코 두곳을 다 가봐야겠습니다.
사진으로도 멋진 곳임이 느껴지네요.ㅎㅎ
두곳을 다 보시려면 굴목이재를 한번 넘어 보시기 바랍니다,
저도 언제 한번 넘어 보려 생각하고 있습니다.
순천 송광사 언제가도 좋은 곳이죠.
저도 2번 가봤는데 갈때마다 좋았어요.
행복한 시간되세요.
언제 봐도 좋은곳이지 싶습니다.
조계종 교구 본사가 저렇게 많군요. 전 법주사(동네절...ㅋㅋ) 불국사해인사만 가본 것 같네요.
순천 갈 때 시간이 없어서 송광사를 못 들른게 아쉽습니다.
덕분에 잘 구경했어요 :)
그때 선암사만 가셨죠?
서울 ,경인 지욕의 교구 본사를 아직 못 가 봤네요.
규모도 꽤 크고 멋진 절이네요!
한국 3보 사찰중의 한곳입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