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 마을을 보러 간건 아니고 친구가 민속마을에서 산 오메기술의 냄새가 이상하다 해서 구입처에 문의하러
민속 마을에 있는 오메기술 명인의 집을 찾아 갔다.
해가 일찍 떨어져 민속 마을에 들어설때는 벌써 어둑해져 있었다
민속마을은 내가 제주 처음 왔을때 돼지를 보고 온곳이기도 한데 그때와는 많이 달라져 있었다.
제대로 돌아 볼려면 2시간은 족히 잡아야 하지 싶다.
날도 어둑하고 해서 곧 바로 오메기술 명인 집을 찾아갔는데 한참 헤매는 바람에 본의 아니게 민속마을을 보게 되고.,
카메라 모드를 바꾸고 후드를 벗겨야 하는데 벗기지 않아 사진에 후드 그림자가 졌다..별수 없는 일..
제주도는 조선 태종 16년(1416) 안무사 오식의 건의로 5세기라는 긴 세월동안 세 지역으로 나누어 통치하였다. 그 중 성읍은 세종 5년(1423)에 지정된 정의현의 도읍지로서 산골 마을이면서 도읍지였다는 특이성을 갖추고 있다.
아늑한 터에, 주변으로는 마을을 둘러싼 높고 낮은 봉우리들이 의젓하게 감싸고 있다. 또한 길들이 굽이 돌아 나 있고 길과 길이 만나는 지점에 평상과 나무들을 두어 쉼터와 모임장소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 마을 민가는 뭍과는 다른 독특한 건축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대개 一자형 평면을 가진 집 2채를 중심으로 몇가지 배치방식으로 짜여있어 제주도 민속 ·문화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가옥으로는 조일훈 가옥(중요민속문화재 제68호), 고평오 가옥(중요민속문화재 제69호), 이영숙 가옥(중요민속문화재 제70호), 한봉일 가옥(중요민속문화재 제71호), 고상은 가옥(중요민속문화재 제72호) 등이 있다.
정의현 관청건물이었던 일관헌을 비롯하여 느티나무와 팽나무(천연기념물 제161호)·정의향교·돌하루방·초가 등 많은 문화재가 있어, 소박하면서도 멋스러운 풍경과 함께 제주도의 고유한 생활풍습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 포털에서 가져 옴)
성읍 읍성
이게 돼지들이 있던곳이지 싶다
마을 우물
객주집
정의현 객사
오메기술은 제주도지정 무형문화재 제3호이다 ( 오메기술 기능 보유자 김을정 )
그 따님이신 강경순씨가 1985년부터 전수 교육을 받아 2010년 전수교육 조교로 선정되었고 2015년 농림수산식품부가
전통식품명인으로 선정했다
제주도는 논이 매우 귀한 섬이라 쌀로 술을 빚지 않으며, 술의 재료는 밭곡식인 ‘조’다. 제주도는 근래까지도 청주나 소주를 좁쌀로 빚는 것이 정통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좁쌀로 술을 빚어 온 역사는 조의 경작만큼 오래되었다.
제주도에서는 좁쌀로 탁주와 청주 등을 빚어 왔는데 탁주를 두고 ‘오메기술’이라고 한다. 오메기술은 탁주를 만드는 술떡의 이름인 ‘오메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 떡으로 만든 술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오메기술을 만드는 데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보통 40되들이 밑술을 담는데 메좁쌀 12되와 누룩을 만들 밀과 보리 10되가 든다. 술은 언제라도 빚을 수 있지만 24절기 중 상강(음력 10월 24일)이 지나서 새좁쌀로 빚어야 좋다.
강경순 명인
오메기술도 술이다.
한잔 마셔 봤는데 나에게는 별로 였다
'인상 깊은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우도 등대공원 (94) | 2018.12.14 |
---|---|
( 제주 여행 ) 친절했던 우도 윤식당 그리고 우도 드론 촬영 사진 (114) | 2018.12.06 |
성읍 민속마을 오메기술 강경순 명인 (102) | 2018.11.29 |
김광석다시그리기길-김광석거리,김광석길 (115) | 2018.11.12 |
천주교 한강성당-김대건안드레아신부성당 (84) | 2018.10.12 |
성묘-국립 대전 현충원 (92) | 2018.10.08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오메기술 도 있군요
처음알았습니다^^
잘보고갑니다
네..제주도 고유 술입니다.
오메기술 저도 처음 봅니다^^ 제주도에서만 있는 술이군요? 다음에 제주도에 가면 꼭 먹어봐야겟어요
한번은 마셔 볼만 합니다. ㅎ
저는 오매기하면 떡만 있는줄 알았습니다^^;
오매기술이 있다는점은 신기하네요 ㅎ
어떤맛일지.. 제주도에만 있다고 하니 더더욱 귀한맛이겠지요~?ㅎㅎ
자주 마셔 보면 그 깊은 맛을 알수도 있지 싶습니다.
첫 느낌은 조금 시큼했습니다.
오호~ 구경하기에도 좋아 보입니다.
명인이 제조하는 오메기술이 신기하군요.^^
맛이 별로라는 단점이 ㅎㅎㅎㅎ크네요
이런 시큼한맛 좋아하시는 분도 계시지 싶습니다.
상당한 자부심이 있는 명인이시더군요.
옛날 시골 풍습에 정겨워 집니다.
오매기 술 약간 세큼한 모양이군요.
저도 처음 들어본 술 이름 이군요.
제주도 가면 기대가 됩니다.
네. 그렇습니다.
제주도 오시게 되면 한번 맛보시기 바랍니다.
드디어 제주도 투어 여행기를 올리시는군요~^^
오메기는 떡으로만 먹어서 술이 있다는 것은 처음 알았습니다.
그러니 갑자기 막걸리가 마시고 싶어지기도 한데,
목요일 밤은 이래저래 피곤합니다~^^ 그래서 금주!
어제 날짜 부터 올렸습니다.
며칠 올릴 에정입니다. ㅎ
저도 막걸리 한잔 생각이 납니다.ㅋ
아름다운 마을을 봅니다.
옛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는 마을입니다.
술제조에도 명인이 있군요.^^
오메기 술 명인 잘 봤습니다.^^
전통술을 만드는 명인분들이 있는것 같습니다.
오메기 술은 처음 들어봅니다. 맛이 별로셨다니 ㅎㅎ안타깝네요.
제가 술을 좋아하지 않기도 해서 먹을 일은 없겠지만
오메기 술이 제주 지정 무형 문화재라는 것은 어디서 아는체 할 수 있겠네요.
좋은 밤 되세요~
단맛이 없고 시큼해서 제가 그렇게 느꼈나 봅니다. ㅎ
오메기떡뿐 아니라 술도 있다는것 알아두면 좋죠.^^
와~ 오메기떡은 들어봤는데 오메기술도 있군요....무형문화재라는 것도 첨 알았구요 의도한 투어는 아니었지만 민속마을 분위기랑 어울리는 듯해요 11월 마무리 잘 하시길요^^
나중에 다시 민속 마을을 찬찬히 들러 볼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번은 그냥 스쳐 왔습니다.
오메기 술은 처음 들어보는데 ㅎㅎㅎ 결론은 별로셨군요 ㅎㅎㅎㅎ 오메기 떡은 알고 있지만 술은 생소하네요 ㅎㅎ
저는 별로 였지만 좋아 하시는분 많으십니다.
특히 한잔은 건강에도 좋다 합니다. ㅎ
오메기술 신기하네요.^^
저도 처음 봤습니다.^^
오메기술, 오메기떡 그 맛이 몹시 궁금합니다.
술을 담그는 모습을 보면 재미있을거 같네요.
굿밤되세요~ =)
막걸리가 좀 시큼하다 생각하심 됩니다.
술 담그는 모습은 저도 못 봤는데 과정이 힘들것 같더군요.
오메기떡은 먹어봤는데, 술도 있었네요..
약간.. 막걸리 같은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막걸리가 조금 시큼하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메기떡은 동문시장서 사서 먹어 봤는데 맛있더라구요. ㅋ 전 술은 못 마셔서^^오메기술엔 관심이 없지만 제주도 사진은 봐도봐도 좋네요. 해가 바뀌고 날이 따뜻해지면 저도 오랫만에 1호2호3호 다같이 제주도 여행가야겠어요. 먹고 싶은거 보고 싶은 것들이 한가득이에욪
오메기떡은 저도 예전 먹었었는데 맛있더라구요.
술은 좀 시큼해서 신걸 못 먹는 저는 좀 그랬습니다.
날 좋아지면 가족 여행 제주로 가셔도 좋으실것입니다. ㅎ
오메기 떡은 아는데, 오메기 술은 처음이네요.
민속마을을 천천히 둘러본 후에, 술 한잔하면 딱 좋을 거 같네요.ㅎㅎ
한잔만 하시기 바랍니다..ㅎ
은근히 취하는술입니다
술좋아하시는분들 간단하게 드시기에 봏겠는걸요 ㅎㅎ 오메기술 싫어하는분들 안계신것 같아요 ㅎㅎ
오메기술은 신맛이 강해 저는 별로 였습니다.
오메기떡 아니고 술이라니 첨 봅니다.
한 번 마셔보고 싶은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한잔 정도 마시니 좋더라구요^^
오메기술은 처음 들어봤어요.
맛이 어떨지 궁금하네요.
의도치 않았지만, 민속마을을 둘러보신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아요. ^^
맛은 시큼합니다. ㅎ
오죽햇으면 확인하러갔겠습니까? ㅎ
민속마을에는 저도 가본 듯한데 말입니다. 오메기떡은 봤는데 오메기술도 있었군요. 허허 그렇다면 한 잔 마셔봤어야 하는데 기회를 놓쳤네요
오메기술은 한잔은 마실만 합니다.
많이 마시니 머리 아프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