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달성군은 넓은 면적인 만큼이나 관광지,문화재들이 산재해 있어
한번에 돌아 보기는 참 힘들다
하빈쪽에 들러볼곳이 몇군데 있었는데 벼르고 벼르다가 다녀 왔다
처음 찾아간곳은 "육신사"다
육신사는 삼촌에게 왕권을 빼앗긴 어린 왕 ‘단종’의 복위를 꾀하려다 숨진 사육신으로 일컫는 조선 세조 때의 박팽년, 성삼문, 이개, 유성원, 하지위, 유응부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취금헌 박팽년(醉琴軒 朴彭年) 선생만을 그 후손들이 모셔 제사를 지냈으나 선생의 현손(玄孫)인 박계창이 선생의 기일에 여섯 어른이 사당 문 밖에서 서성거리는 꿈을 꾼 후 나머지 5위의 향사도 함께 지내게 되었다. 그 뒤 하빈사(河濱祠)를 지어 제사를 지내다가, 숙종 20년(1694년) 낙빈(洛濱)이란 현액을 하사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고종 3년(1866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페령으로 낙빈사가 서원(書院)과 함께 철거되었으며, 1924년 낙빈서원이 재건되면서 위패를 다시 봉안하게 되었다. 이후 1974년부터 1975년 사이에 ‘충효 위인 유적정화사업’에 의해 현재의 위치에 육신사로 이름을 붙여 사당을 재건하였고, 2003년부터 2011년에 걸쳐 충절문을 세우고 전통가옥을 복원하였다.
사우건물인 숭정사에는 육신과 더불어 박팽년의 부친인 중림(仲林, ?~1456년)의 위패도 함께 봉안되어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3칸의 규모에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어 웅장한 느낌을 준다. 경내에는 이외에도 정면 5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홑처마 팔작지붕인 숭절당, 태고정(보물 제554호), 외삼문, 내삼문, 홍살문, 삼층각 등이 있고 사당 앞에는 사육신의 행적을 기록한 육각비(1979년 건립)가 세워져 있다. ( 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 가져 옴)
까마귀 눈비 맞아 희는 듯 검노매라
야광 명월이 밤인들 어두우랴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고칠 줄이 이시랴
박팽년의 유명한 시조다
박팽년은 세조 집권시 충청도관찰사로 재직할당시 조정에 장괘를 올릴때 한번도
臣이라는 글귀를 쓰지 않았다
그래서 세조가 대노하여 삼족을 멸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의 후손이 없을뻔 하였으나 둘째 며느리가 임신상태에서 노비로 가게 되고
여종의 기지로 후손이 살아 남았다
그 후손이 후일 성종에게 사면된 박일산이고 그 박일산이 이곳으로 와서 살게 된것이다
육신사로 들어가는 마을 입구에 세워진 충절문

외삼문 현판 글씨 "육신사"는 박정희가 썼다고 한다
쿠데타의 장본인이 쿠데타에 반대한 사람들 사당에 현판글씨를 쓴 심정은 무었일까
아이러니하다

잡귀가 무서워 한다는 홍살문


사주문

사주문 안으로 보이는곳 동재

숭절당과 동재..숭절당은 제사를 위한 건물이다
지은지 100년 남짓 되었다

서재

안에서 본 외삼문

육신 사적비

육신 6분의 성함과 공적이 씌어져 있다

이 휘호가 왜 이 자리에..
쿠데타 중심에 섰던 인물들인데...

내삼문

숭정사..사육신의 위패를 모신곳이다

태고정 ( 보물 제 554호)
태고정은 본래 부형골에 99칸으로 지었던 것인데, 제 13대 조선 성종 10년(1479)에 박 팽년의 유복 손인 박 일산이 창건한 정자이다. 그 후 선조 25년(1592) 5월 28일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일부만 남아 있던 것을 선조 29년(1596)에 충관공 박 중후가 다시 세웠으며, 광해군 6년(1614)에 중건하였다





제택

한석당 유적비

충의사



박팽년은 아모리 여필종부(女必從夫)인들 님마다 조츠랴 했다
역사는 기록하고 기억할것이다..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사람들을..
그리고 그에 항거한 사람들을..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앞산에 카페거리를 조성해 놓았군요?
뚜벅이다 보니 차를 타고 가지 않으면 앞산에 갈 일이 없어서
처음 보게되는 광경이에요 ㅎㅎ
2년전에 겨울에 앞산 갔을 때에는 이런 조명 못본거 같은데
너무 이쁘네요^^
조명을 언제까지 비춰 놀지는 모르겠지만 한번쯤 가 보시는것도..ㅎ
요즘 전국 어딜가나 이런 똑같은 모습의 거리가 생겨 아쉬워요.
지역의 특성이 점점 사라져 가는 느낌이 듭니다.
여기 조성된지는 6~7년 되었습니다
아직 빛을 못 받고 있습니다
이런 비슷한 거리가 정말 많이 생기는거 같네요. ㅎ 그래도 보는내네 이뻐서 좋네요 ㅋㅋ
기다리는 시간이 즐거웠었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누군가 저런데 가고싶네요 ;;
계시는곳 근처에도 있지 싶습니다 ㅋ
정말 앞산이네요...뒷산은 많이 들어봤어도.
찾는 이가 많은 거리일 텐데.
요즘 경기가 그러네요~
좋아지겠죠
제가 앞산을 정말 오랜만에 찾았습니다
한 2년만에 간것 같습니다
경기가 좋아져야 할텐데 말입니다
어머나 거리가 정말 예쁜데 생각보다 사람들이 많지 않았나봐요. 정말 요새 불황이기도 하고.. 아마 미세먼지 때문에 더 그런 것 아니었을까 싶네요 ㅠㅠ
미세먼지는 없었는데 여러가지 요인이 겹쳐서
인듯도 합니다 ㅎ
앚부아주 옜날 대구 공평동에 살던... 기억에도 희미하게 남아 있는 앞산공원이 생각납니다.
사진으로는 아무 것도 찾아 내지 못하는 옛날 애기를 그림처럼 보고 갑니다.
저도 이곳이 조금 생소했습니다 ㅋ
사람을 끌어 모으는 건 어찌 보면 아무 것도 아닌 것 때문에 이뤄지기도 하지요.
누군가 한 사람이 노래를 부르기 시작해 인기를 끌며 여러 가수 지망생들이 모이고 놀이 마당으로 바뀌며
상권이 변하는 경우도 있고요.
좋은 곳이 될 겁니다. ^^*
조성된지가 10년이 다 되어가는데,,
다른 요인땜에 중소상점들이 떠나 가는것
같아 좀 씁쓸합니다
저도 꽤 오래 전에 다녀온 기억이 있는 곳입니다.
앞산에서 내려다 보는 풍경도 참 좋았거든요.
그렇죠.
처음 만드는 것보다 유지, 관리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고 힘든 것 같습니다.
앞산에서 여기가 내려 보이는군요 ㅎ
순환도로앞 식당들하고 좀 연게가 되면 좋을듯 합니다
분위기는 좋네요. 근데 온갖 대기업 프랜차이즈가 점령한 풍경,
저 가운데 몆 년후, 얼마나 남아있을까요,
인공적인 번화가 조성은 오래 못갈 것입니다.
이곳 임대료가 많이 올라 대기업 프랜차이즈만
유지가 가능할것입니다
별과 달 장식이 아름답네요. 불황이라는게 여기저기 거리에서 느껴지는 것 같아요. 안타까운 일입니다. 다시 바람이 불면 좋겠습니다.
다시 바람이 불면 좋겠다는 생각을
저도 합니다
건강한 하루 되세요^^
요즘은 미세먼지여파까지 더해져서 거리에 사람이 더 없는것 같아요 ㅠㅠ
중부지방은 외출하는것도 조심해야 할듯 합니다
우와 그래도 카페들이 참 많네요.
이쁜 인테리어도 보이고...
저런거 볼 때마다 돈을 얼마나 들였을지 궁금해집니다.
불황이라 손님이 없어서 힘든 것 같아요. ㅠㅠ
대형 카페들이 상대적으로 많더군요
소형,개인 카페들이 많이 생기면 더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거리 조성은 정말 잘 되어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요새 이런 거리들이 워낙 많기도 해서... 명성을 유지하는 게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닌 것 같아요.
대구에도 이곳 말고 여러곳이 있습니다
여러면을 고려해야 명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러고 보니 앞산 카페 거리 가본지가 언제인지.ㅎ 많이 변했겠네요.^^
저도 요번에 정말 오랜만에 갔습니다^^
앞산! 카페이름이였네요~~ㅋㅋ 재밌는 이름인데요~~앞에있는 산에 있는 카페인가했는데 정말고급진 카페들이 있네요
앞산은 산 이름입니다
앞산 앞의 카페거리..^^
거리 분위기가 20~30대들이 좋아하게 생겼는데 요즘 발걸음이 좀 뜸한가 보군요.
비슷한 매장의 경쟁이 지나치게 심한 것도, 장사 잘된다고 임대료 욕심을 많이 부리는 건물주도
일어나지 않으면 좋겠는데 인기있는 상권에서는 꼭 이런 현상이 따르더라구요. ㅠㅠ
사진으로 봤을 때는 참 멋있어 보여서 언젠가 한국에, 특히 대구에 간다면
이곳에 가서 분위기 좀 잡아보고 싶어요. ^^*
임대료가 비싸지니 영세업자들은 떠나고 대형업체들만 남아 있는듯 합니다
대신 카페말고 다른 업종 가게들이 슬금 슬금 자리 잡는것 같습니다
대구 오시게 되면 당연히 제가 모십니다 ㅎㅎ
우리나라는 유난히 유행에 민감한거 같더라구요. 식당도 카페도 잘되면 우후죽순 안되면 어느날 다 사라져버리고...^^;
냄비 근성이 적용되는것 같습니다^^
야경이 넘 좋네요.
연인이라 데이트하기 딱 좋아보입니다.
행복한 주말되세요.
연인과 데이트 하기좋은곳입니다^^
사진만 봐도 지날 때마다 은은히 퍼지는 카페향과
분위기에 취할 것 같은 곳이네요 ^^
여유잇을때 가면 충분히 느낄수 있습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