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空空)의 시선

공연,전시-연극.컨서트,뮤지컬

대구 미술관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웰컴 홈 향연

空空(공공) 2021. 8. 20. 00:56
반응형

 

 

얼마 전부터 지역 미술계를 비롯 관련 단체들의 "이건희 미술관 대구 유치"로 시끌 시끌하더니

서울로 건립하는 것으로 결정이 된 이후로도 여전히 시끄럽다

나와는 관련 없는 일이긴 하지만 자기 만의 이익을 위한 주장은 아니었으면 한다

 

관련하여 지난 2020년 10월 25일에 작고한 이건희 삼성 회장의 컬렉션 중 유족이 기증한

작품을 대구 미술관에서 지난 6월 29일 부터 2달간 전시를 하고 있다

궁금하기도 하고 한 번 보는 게 좋겠다 싶었는데 코로나로 인해 사전 예약제를 하는데 도저히

예매가 안된다

 

그러다가 8월 15일 관람을 목표로 예매가 시작하는  날  아들에게 부탁해 겨우 예매를

하고 관람 하게 되었다

하루 6회 회차별 140명 관람이니 예메가 치열할 수밖에 없다. 그것도 선착 순 무료 관람이니

 

첫 시간이라 비교적 한산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웰컴 홈: 향연饗宴》은 지난2020년10월25일 작고한 이건희 삼성 회장의 컬렉션 중 

유족이 기증한 작품이 계기가 되어 마련된 전시이다. 

故이건희 회장은 기업뿐 아니라 사회에,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까지 미칠 영향을 내다보는 긴 안목을 

가지고 기업을 이끌었다. 

그리고 그러한 공동체 정신과 상생의 가치관은 문화재와 예술품을 수집하고, 그것을 보는 안목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되었다.
 
그의 예술품 수집은 개인이 아닌 사회 전체의 문화유산을 만들고, 이를 시민이 향유함으로써 문화의 힘이 

확장됨을 내다본 혜안에서 비롯되었다. 

그리하여 그의 문화에 대한 사명은 미술관의 건립과 관련 연구 지원, 문화 다방면에 대한 후원으로 나타났다

. 더불어 민족문화의 선양과 인류애의 추구, 사회 공동체와 이익을 나누는 그의 정신은 오늘날 ‘이건희 컬렉션’

이 라는 거대한 예술의 향연으로 국민에게 돌아왔다. 

특히 대구미술관에 기증된 작가 8명의 작품 21점에는 이건희 회장의 고향, 대구에 대한 큰 배려가 읽힌다. 

한국 근대미술의 별과 같은 작가 이인성과 이쾌대를 비롯해, 대구의 초기 서양화단을 형성했던 서동진, 

서진달의 수작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현대미술로의 전환기에 추상조각의 거두 김종영, 한국적 추상화의 유영국, 1세대 추상작가 문학진, 

신형상 주의의 변종하의 작품이 포함되어 기증작을 통해 한국미술 전반을 두루 섭렵할 수 있게 했다.

                                                                    - 전시 리플렛에서 인용
 

 

서동진(小虛 徐東辰, 1900~1970 대구)


1919년 계성학교를 중퇴하고 1924년에 휘문고보(現 서울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 유학길에 올랐다. 
2년 동안의 일본 유학 생활을 마치고 대구로 돌아와 1926년부터 1940년까지 교남(嶠南) 학교에서 미술교사로 
근무하였다. 작가 활동 초기부터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1927년 대구미술사(大邱美術社)를 설립하여 
서진달, 이인성, 김용조 등의 작가를 양성하였다. 
1927년 풍경과 인물수채화 총 45점을 출품한 첫 개인전(동아일보 대구지국 주최, 조양회관, 6월 11일~13일)을
 개최하였으며, 1928년에 두 번째 개인전(동아일보 대구지국 주최, 조양회관, 7월 7일~9일)을 개최하였다. 
1928년 제7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역 부근>, 제8회전에 <역구내>, 제10회전에 <오후의 풍경>, 
제11회전에 <뒷골목>을 출품하였다. 
1928년 ‘영과회(零科會)’에 참여하고 1930년 ‘향토회(鄕土會)’ 창립하였으며, 조양회관 교육부의 주최로 
회관 대강당에서 창립전(10월 17일~20일)을 개최하였다. 
1933년에 고등문관시험에서 행정과 사법 부분에 동시에 합격하였다. 
1953년  ‘대구화우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제3대(1954년), 제5대(1960년) 민주국민당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

 

도풍 서진달 (滔風 徐鎭澾, 1908~1947, 대구)


1930년 부산 동래고보(東萊高普)를 졸업한 후 일본으로 건너가 미술연구소에서 3년간 기초 데생 수업을 
하다가 1934년 도쿄(東京)미술학교 유화과 예과에 진학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유학한 고바야시 만고(小林萬吾)에게 미술 수업을 받았으며, 1931년부터 1942년까지 
《조선 미술전람회》 출품작을 통해 알려졌다. 
도쿄 미술학교 재학 당시인 1931년 제10회전에 <시장(市場)의 일각(一角)>, 1932년 제11회전에 
<소녀 탄주도(小女彈奏圖>, 1933년 제12회전에 <인물(人物)>, 1934년 제13회전에 <나부(裸婦)>, 
1937년 제16회전에 <실내(室內)>, 1939년 제18회전에 <시작 나체(試作裸體)>, 1940년 제19회전에 
<스토브>, 1942년 제21회전에 <정물(靜物)> 등이 입상하였다. 
1939년에 도쿄미술학교를 졸업하고 제3회 재동 경미 술 협회전에 <정물 A> 등 9점을 출품하였다. 
일본에서 돌아온 1941년 대구 계성중 강사, 인천 소화여고에 출강하였다. 
계성중 재직 중 미술부 학생으로 김우조, 백태호, 추연근, 김창락, 변종하 등이 있었다. 
1942년 만주(滿洲)하얼빈대공(大工) 강사를 역임하고 1943년 하얼빈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1945년 부산에서 미술연구소를 경영하였다.

누드화라 블러 처리를 했다

 

이인성 (李仁星, 1912~1950, 대구)


1922년 수창(壽昌)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28년 졸업하고 『개벽』 주최 《세계 아동 예술 전람회》에서 특선을
 수상하였다. 1927년 ‘영과회(零科會)’에 회원으로 참여하였으며, 중학교 진학 대신 1928년 서동진이 경영하는
 대구미술사에서 수채화를 배우기 시작하여 이듬해인 1929년 제8회 《조선 미술전람회》에서 
<그늘(음(陰))>으로 첫 입선을 하였다. 
1930년 ‘향토회(鄕土會)’ 창립에 참여하였으며, 1931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크레용 제조 회사인 
오오사마(王樣) 상회에 입사했으며, 이듬해인 1931년에 다이헤이요(太平洋) 미술학교에 입학해 1935년에 
졸업하였다. 입학과 동시에 일본 수채화 연맹(日本水彩畵聯盟) 회원이 되었으며 《문부성미술전람회》와 
《제국 미술전람회》에 여러 차례 입선하였다. 
1933년 도쿄 ‘광풍회(光風會)’전에서 수상하였으며, 대구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1934년 제13회 《조선 미술전람회》에서 <가을 어느 날>을 출품해 특선하였으며, 1935년 제14회전에서 
〈경주의 산곡에서〉로 최고상인 창덕궁상(昌德宮賞)을 수상하였다. 
1937년에는 《조선미술전람회》 추천작가에 선정되었다. 
1938년 대구 남산병원 3층에 양화연구소를 개설하고 1939년 대구에서 아루스 다방을 경영하였다. 
1940년부터 1943년까지 심형구, 김인승과 선전 추천작가 3인전을 개최하였다. 
1945년 이화여대 미술과에 출강하였으며, 1948년 서울동화화랑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1949년 국전 심사위원이 되었으며, <국화> 등의 작품을 출품하였다.

 

이쾌대 (李快大, 1913~1965, 칠곡)


1928년 대구 수창보통학교를 졸업했고 휘문고 등보 통학교에 입학하여 미술 교사로 재직 중이던 
화가 장발(張勃)을 사사했다. 
1932년 제11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였으며, 그해 가을에 제3회전 《조선남녀 학생작품 전람회》 
회화부 2등상을 수상했다. 
1934년 도쿄(東京) 데이코쿠(帝國) 미술학교에 입학해 나카가와 키겐(中川紀元, 1892~1972)에게 배웠으며 
1937년에 졸업하였다. 
《하라츠바 양화 전》(1935년), 녹포사 공모전(1938년), ‘재(在) 도쿄미술협회-백우회(白牛會)’에 참여하고 
《이과 전(二科展)》에 연 3회 입선했다. 
1941년 이중섭, 최재덕, 문학수 등과 함께 ‘조선신미술가협회’를 조직하고 광복 후 1946년 조선 조형예술동맹 
회화부 위원, 조선미술동맹의 서양화부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
947년 8월 ‘조선미술문화협회’를 결성했고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948년 서울지검에서 운영하던 좌익 인사 사상전향 기구 보도연맹에 가담하여 전향하였다.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가 되고, 성북 회화연구소를 열어 김서봉, 김창렬, 심죽자, 전뢰진 등을 
배출하였으며 이후 홍익대학교 강사를 역임하며 조선 미술 동맹에서 활약했다. 
9·28 수복 직전 대한민국 국군에 체포되어 부산과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구금되었다가 1953년 남북 포로 교환 
때 북한을 택했다. 
월북 후 1954년부터 전후 건설성 미술제작소의 미술가, 조선미술가동맹 평양시, 자강도 현역 미술가로 
선출되고, 1957년 조선미술가동맹 유화분과 임원에 선임되었다. 
1958년 ‘동맹 역사편찬위원회’의 '해방 후 남반부 편집 그룹'의 위원을 역임했다. 

 

변종하 (卞鐘夏, 1926~2000, 대구)


대구 계성학교에서 서진달을 사사했다. 
만주 신경시립미술원 서양화과에 2학년으로 편입하였다. 
1953년에 대구 미국공보원(USIS)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으며, 1954년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강사를 역임하였다.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특선을 수상하였다. 
1955년 수도여사대 미술학과에서 근무하였으며, 1956년 제4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1959년에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에서 작품 활동을 하다 1975년에 귀국하였으며, 서울시 문화상과 문화훈장을 
받았다. 1975년과 1980년에 개인전(신세계화랑), 1992년 파리 퐁피두센터에서 회고전, 1995년 갤러리현대, 
조선일보 미술관, 1996년 박영덕화랑에서 전시하였다.
 

 

김종영(金鍾瑛, 1915~1982, 창원)


일본 동경미술학교 조소과를 졸업. 해방 후 서울대 미대 교수로 후진 양성에 힘썼다. 
국전에는 초창기부터 활약하여 심사위원을 역임하고 1953년 런던 국제조각대회에 출품한 이래 마닐라 국제전
, 상파울루 비엔날레 등 국제전에도 참가를 하였다. 
1975년 개인전을 가졌고, 작품은 추상조각을 시도하여 조각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김종영은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을 접목하여 주체적인 한국 현대조각을 이룬 조각계의 거장이다. 
이 작품은 유기적이고 기하학적인 조각을 추구한 시기의 작품이다. 
이 시기 서예의 조형성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거나 자연의 본래 형태를 드러내는 순수 추상작업을 추구하였다. 

 

문학진(文學晋, 1924~2019 서울)


문학진은 1950년대부터 아카데믹한 구상 중심의 국전의 성향과 다른 추상 형식을 도입한 1세대 작가이다. 
1953~1955년간 연이어 국전 특선을 수상하고, 1958년 제7회 국전에서 <자전거에 부딪힌 운전수>로 
문교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작가는 입체파적인 구성을 시도하며, 소녀 등 인물과 정물 등 다양한 소재가 공존하면서도 몽환적이고 
은유적인 표현이 특징적이다. 서울대 교수와 예술원 회원을 역임했다.

 

유영국(劉永國, 1916-2002, 울진) 


화백은 한국 근대미술의 '전위(avant-garde)'에 서서 추상미술의 영역을 개척했던 선구자이다. 
특히, 한국의 자연을 아름다운 색채와 대담한 추상 형태로 빚어낸 최고의 조형감각을 지닌 화가이다. 
1935년 도쿄 문화학원에서 미술공부를 하였고, 김환기, 장욱진, 이중섭 등과 교류하였다. 
1938년 제2회 자유 미술가 협회전에서 협회상을 수상했고, 무라이 마사나리, 하세가와 사부로 등 당대 일본의 
영향력 있는 추상미술작가와 교유하였다. 
1943년 귀국하였고, 1955년 서울에서 본격적인 미술활동을 재개하여 신사실파, 모던아트협회, 현대작가 초대전
, 신상회 등 전위적인 미술단체를 이끌며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유영국미술문화재단 소개 참고)

이병철 선대 회장과 이건희

 

작가에 대한 설명은 대구 미술관 누리집에서 가져왔다

도슨트 해설을 듣고 싶었는데 시간이 맞지 않아 못 들었다

이런 전시는 도슨트 해설을 듣는 게 좋다

 

생각 좀 하며 세상을 보자- 이건희 저서 명

 

☞ 8월 15일 아내, 친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