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사과 1 갯값이 1만 원을 웃돌아 "금사과"라고 까지 한 적이 있었다 (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
그래서 2월 설날 차례상에 평소 3개 올리던 것을 어쩔 수 없이 1개만 올렸었다
올해 들어 과일 값이 이렇게 비싸게 된 것은 전반적인 소비자 물가 상승 요인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최근의 고르지 못한 날씨 때문일 것이다
개화기 때 이상 저온이 발생하고 서리, 우박등 피해도 있었으며 일조량이 부족해
과일 생산량이 감소해 과일 값이 폭등한 이유다
예전에는 3월에 제주를 가면 감귤이 달린 것을 쉽게 볼 수 있었는데 올해는 거의
보지를 못했다
지난 일요일 모처럼 야외 나간 길에 산지에서 참외나 사볼까 했는데 파는 곳이
잘 보이지를 않았다
농협 공판장에 가니 일반 소비자에게는 팔지를 않는다고 하고 요즘은 10Kg
한 박스에 10만원에서 14만 원을 주어야 살 수 있다고 한다
집으로 가는 길에 찾은 선별 작업장에서 한 박스 8만 원을 주고 샀다
예전보다 50%는 오른 가격이다
기후 위기가 점점 피부로 느껴진다..
-----------------------------------------------------------------------------------------------
전우용의 근현대 한국 박물지 잡동산이 현대사 1. 일상. 생활
6. 세면대 -선 채로 세수하기
- 단재 신채호는 독립신문 주필로 활동했던 이광수가 지조를 굽히고
일본에 협력하러 가기 전 그에게 들렀을 때 고개를 숙이지 않고 빳빳이 든 채로
두 손으로 물을 찍어다가 발랐다
이광수를 깨우치려 그러했는데 이광수는 그것을 깨치지 못하고'별 것도 아닌 일에
지조를 내세우며 불편을 자초하는 선비의 고루함을 조롱하였다
-1909년경 세면대를 최초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 ( 조선 왕족과 극소수 부호 )
요즘에야 대부분 세면대를 이용하겠지만 어릴 때만 해도 수도가에서 세수대야를
사용했었다
세면대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도 거의 성인이 되어서였다
세면대를 사용하면서 쪼그려 앉는 일도 없어졌다
세면대와 양변기는 거의 같이 사용되어진게 아닌 가 싶다
-----------------------------------------------------------------------------------------------
동. 서양을 막론하고 숫자 7은 행운의 숫자, 러키 세븐이라 해서 좋아하는 숫자다
중국에서는 8이 재물을 뜻하는 말과 발음이 비슷해 인기가 아주 많다
전화번호나 차량 번호에 8이 많이 들어가면 아주 비싸게 팔리기도 한다
반면 4는 죽을 死와 발음이 비슷해 중국이나 우리는 싫어하는 숫자이고 서양에서는
13을 싫어 하기도 한다
특히 13일의 금요일은 불행이 겹치는 날로 이날은 조신 모드에 들어가야 한다
올해는 9얼 13일이 금요일이다
몇 년 전 최순실이 특정 숫자를 좋아했다는 게 생각나 찾아보았더니 '1001'이라는
숫자를 좋아했다한다
대통령 차량NO가 1001이어 좋아했다고 하는데 살던 오피스텔 호수도 1001호실이었다
자두나무 아래서는 갓끈도 매치 말라했는데 최근 "2000"이라는 숫자에 대해
이런저런 말이 많은 모양이다
천공의 성이 이 씨라 그렇다는데 호사가들의 이야기로 생각하는 것이 맞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