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7년의 밤 소설과 영화 비교
정유정 작가의 소설 "7년의 밤"을 먼저 읽으신 분들은 추창민 감독의 영화 "7년의 밤"을 오히려 안 보는 게 낫다
추창민 감독의 "7년의 밤" 영화를 먼저 보신 분들은 소설 "7년의 밤"을 안 읽으시는게 낫다
소설과 영화 두 장르의 좋은 점을 더해 접할 수 없을 바에야 각자의 장점을 간직 한 채 읽고 보는 게 좋겠다
괜히 아쉬움이 있을 수 있으니 말이다
520 페이지에 달하는 소설을 읽고 난 후 2018년 보았던 영화의 기억을 더듬으며 영화를 다시 보았다
( 두 장르의 비교라 당연히 스포일러가 되는 내용이 있으니 감안 하시기 바랍니다 )
소설은 정유정 작가 한 사람의 개인적인 창작 ( 돈으로는 환산 할 수 없지만 )이지만 영화는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많은 돈이 들어간 작품이다
100억 가까운 제작비가 투입되어 관객이 최소 290만명은 들어야 손익 분기점에 도달하는데 52만 명의
박스 오피스는 정말 실망스러운 결과 였었다
그 원인은 한 마디로 소설에 담겨 있는 그 내용을 다 담아 내지 못 해서 일 것이다
소설을 안 읽고 영화를 본 상태에서는 괜찮은 스릴러 영화라고 생각을 했는데 책을 읽은 뒤에 본 느낌은 그것보다는
아쉬움이 가득했다
제목인 "7년의 밤"이라는 의미를 영화는 제대로 알려 주지 못했고 소설에서 보인 탁월한 심리 묘사를 표현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차라리 시점을 자막으로 처리 해 주었더라면 하는 생각도 들었다
소설과 달랐던 여러 가지 부분,,전개에 핵심이 될 만한 내용이 바뀌거나 추가가 되었거나 없어진 것도 그렇다
수목원이라는 것,그리고 전직 야구 선수, 원장 부인을 자살로 처리한 것은 어떻게든 흐름이 달라진 내용이다
실성한 여자를 영화에 등장 시킨건 안 함만 못한 것 같고 어릴 적 아버지의 죽음을 영화는 너무 연결하려 했다
그러나 영화의 가장 큰 장점인 소리와 영상 그리고 인물들의 연기는 충분히 좋다
https://xuronghao.tistory.com/1225
영화-7년의 밤 장동건,류승룡, 베스트 셀러로도 못 막은 흥행 실패
2015년 12월에 2016년 기대되는 영화로 5편을 꼽은적이 있었다 ☞ 2016년 흥행할 국내 영화들 5편 흥행하는 영화를 꼽기란 쉽지는 않지만 대개는 연출한 감둑,출연 배우, 그리고 시놉시스를 보면 윤
xuronghao.tistory.com
소설에는 영화 "19번째의 밤"이 언급된다
☞ 영화 19번째 남자 Bull Durham, 1988
주연- 케빈 코스트너,수잔 서랜든, 팀 로빈스
줄거리 -더럼 불즈 팬 중에는 애니(수잔 서랜든 분)라는 괴짜 여자가 있는데, 초급 대학에서 영문학을 가르치며
야구 기록을 취미로 하면서 시즌마다 점찍을 유망주를 침대에서 키우는 괴팍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녀가 에비와 크래쉬 중 결정을 못 하던 차에, 크래쉬가 먼저 그녀를 차 버린다.
무슨 일이든 댓가는 치르는 거다
내가 끝내야 끝내는 거다
인기 소설,심리 소설을 영상화한다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다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래 보기,힐끗 보기 (0) | 2022.01.31 |
---|---|
2022년 소망-임인무탈( 壬寅無頉 ) (80) | 2022.01.01 |
7년의 밤 소설과 영화 비교 (125) | 2021.12.02 |
댓글 많이 달아 주신 분들-감사합니다 (123) | 2021.12.01 |
오징어 게임 시즌2에 나왔으면 하는 게임-비석치기(오케 바닥 ) (133) | 2021.10.13 |
멍 때리기-강 멍 (82) | 2021.09.21 |
Tag
'생각'의 다른글
- 이전글11월의 고해 (3)
- 현재글7년의 밤 소설과 영화 비교
- 다음글(옥천 여행 ) 옥천 전통 문화 체험관, 교동 저수지
관련글
- 이전 댓글 더보기
-
-
-
-
-
-
-
-
전에도 이 7년의 밤에 대해 포스팅 하셨던 거 같은데..
답글
정유정 작가 포스팅 때 제가 본 것인지..ㅎㅎ
저는 둘 다 보지 않았는데 뭘 봐야 할지 모르겠네요 ^^
두 개 중에 하나를 본 자는 나머지 하나는 보지 않아도 된다고 하셔서 ㅎㅎ
보통 책이 원작이고 영화가 그 다음에 만들어 진 것은 원작을 뛰어 넘기가 힘든 것 같아요.
책은 정말 다양한 묘사들이 가능하고 디테일하면서 울림이 진한 것 같아요.
영화를 1,2,3부 만들면 모를까요 ㅎㅎㅎ -
-
-
-
이런 책과 영화가 있는줄은 몰랐네요. 개인적으로 가볍게 보기에는 영화로 접근하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답글
주말에 한번 봐야겠군요! ㅎㅎㅎㅎ -
-
이 책은 읽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공감이 가는 포스팅입니다.
답글
저도 고전을 몇 권 읽고 영화화 한 작품을 보았는데요.
확실히 머릿속으로 상상하면서 글을 읽는 거하고 영상으로 표현하는 거하고는 상당한 차이가 느껴졌습니다.
아무래도 조그만 것들까지 글로 묘사하는 것만큼 영상은 아무리 잘만들어도 따라가지는 못하는 것 같아요.^^ -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군요. 소설의 감성을 영화로 옮긴다는 것이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답글 -
저도 이 영화 보면서 뭔가 아쉬웠었는데
답글
원작의 내용을 한편의 영화속에 전부 담아내질 못해서 그랬나봐요~
전 영화가 좋으면 책으로도 읽는편인데
대부분 감정 표현면에서는 더 좋더라구요..^^ -
-
-
아~ 이 영화 원작이 소설이었군요. 얼마 전에 이 영화도 리뷰로는 접했는데...
답글
소설이 더 좋은 가 보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