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월 30일 구수산 도서관의 "3.3.3 인문학열차-임택 여행 작가 "의 강연을 듣고 그의 책
"마을 버스 세계를 가다"를 받았었다.
☞ 2019/12/14 - [공연,전시-연극.컨서트,뮤지컬] - (구수산 도서관) 3,3,3 인문학열차- 여행작가 임택 마을버스 세계를 가다
아내가 받은 책이었지만 관심도 가고 궁금해서 내가 먼저 읽게 되었다.
책을 쓰시는 작가들 다 대단한 분이지만 이분 참 대단한 분이다 라는걸 강연을 들으면서도 느꼈지만
책을 읽으며 더 느낄수 있었다.
그는 항상 "꿈을 이루는데 늦은 나이는 없다 " "도전 하는한 언제나 청년이다"라면서 도전을 강조하지만
아무나 하지 못할일을 계획적이고 무계획적으로 이뤄 냈다.
▶마을 버스 세계를 가다
임택 작가는 폐차를 6개월 앞둔 중고 마을 버스를 개조하여 677일간 48개국을 여행 하였다
임택 작가는 여행 기간중 특유의 친화력으로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
그들에게 도움을 주기도 하고 도움을 받으면서 또 때런 인간 관계에 마음을 아파 하며 여행의
재미를 느꼈던것 같다
- 마을 버스 정비를 H 자동차 상용 사업본부 연결이 되어 도움을 받았다
- 볼리비아 사막에서 모래 폭풍속에서 알렉산더라는 청년에게서 연료와 밥을 얻었다
- 페루에서 아무런 댓가도 없이 차량을 고쳐 주던 사람들
- 파파라 불리우며 가족과 같이 생활했던 멕시코의 파비등 이루 헤아릴수 없는 사람들이
그를 도와주고 가족처럼 대했던것이다
그는 또 여행중 외국에서 공부하는 친아들을 만나 같이 여행을 하기도했으며 여행중 만나 버스를 타고
같이 여행한 사람들에게 아부지라고 불리우기도 했다
그의 마을 버스 세계 여행에 영감을 준 버스 여행 사례가 두번 있었다는것을 그는 그의 블로그에서
이야기 하고 있다 ( 임택의 여행 : https://blog.naver.com/nulbo1019 )
하나는 2011년 11월 경희대학교 조리학과 학생 3명이 "김치 버스"를 타고 400일간 블라디보스톡-
중앙아시아-유럽- 미국을 여행한것이고 ( 김치버스 프로젝트 )
( 사진 : 임택 작가 블로그에서 가져 옴 이하 같음)
다른 하나는 16인승 콤비 버스로 유라시아 대륙을 횡단한 "빼빼 가족" 이다
그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수 많은 사람들이 나름대로의 원대한 꿈을 꾼다.
그러나 이 사람들 중 99%는 그 꿈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현실과 타협하고 만다.
자신의 꿈을 이루려면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한다.
꿈을 이루고 난 뒤에 깨닫는 것은. 내가 포기한 많은 것들이 얼마나 작고 하찮은 것이었는가를.
사람은 두개의 손을 가지고 있다. 지금 쥐고 있는 것들을 버려야 다른 것을 쥘수 있지 않겠는가?
다만 한가지 궁금한것은 같이 여행을 떠나신 분들과 끝까지 하지 못하고 중간에서 결별을 한것이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가 궁금해졌다 ( 나중에 블로그 글을 통해 조금 알게 되었다 )
결국 여행은 사람 여행이다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재규 법정진술-야수의 마음으로 유신의 심장을 쏘다 (111) | 2020.02.12 |
---|---|
(서평) 마을버스 세계를 가다-임택 작가 사람 여행 (121) | 2020.01.15 |
위대한 이인자-임금을 산 장삿꾼 여불위 (94) | 2019.02.18 |
길이 아니면 가지 말라-최순희,법정 스님에게 마음의 평화를 얻다 (89) | 2018.12.17 |
(서평) 고종 스타벅스에 가다-커피와 다방의 사회사 (104) | 2018.07.23 |
뜻밖의 한국사 (57) | 2016.12.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저희 외삼촌도 정년퇴직 하시고 외숙모와 함께 개조한 스타렉스 캠핑카로 세계여행 시작하신지 4개월 정도 되셨어요. 지금은 남미여행 중이신데 유튜브도 함께 하고 계세요.대단하시죠.ㅎㅎ
유튜브에서 "길섶" 검색하시면 나와요!!ㅎㅎ시간되시는 분들 구독 부탁드려봅니다~~^^;;
도전하는 한 언제나 청년이다!! 맞는 말인거 같아요~
오,,외삼촌.외숙모 두분 대단하시네요
유튜브 한번 찾아 보겠습니다.
우리 나라에 이렇게 멋지신분들 많은것 같습니다.
와~ 멋진 분이네요. 요즘 주위에 은퇴하고 꿈에 도전하는 분들을 보게 되는데, 다들 멋지시더라고요. 마을버스로 세계여행을 하신다니 책속에서나 볼 법한 이야깁니다. ^^
얼마전 강의도 들었는데 유쾌하고 거리낌이 없는 분이시더군요..
요즘 이런 분들이 많이 늘어 나시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중간에 헤어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한분은 건강상 이유로 중도에 귀국을 하셨다 합니다.
포스팅 잘 보고 갑니다 .
좋은 저녁시간 되세요 ~^^
구독했어요
저도 구독 부탁드립니다
편안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답방은 100% 합니다.
버스타고여행이라 멋지네요 ~ 책잼있어보이네요 ^^
간접 경험을 할수 있기도 합니다.^^
폐차직전의 마을버스로 수많은 나라를 여행했다니 마치 영화같은 스토리네요.
그분에게 도움을 준 선량한 외국인들을 보니 그래도 아직 세상은 살만하구나 싶네요 ^^
이 책을 읽다 보면 세상에 좋은 사람들이 참 많고
진심으로 사람을 대하면 불가능한 일이 없다는걸 알게 해 줍니다..
여행은 사람여행이다라는 말이 좋네요.
여행하다 좋은 사람을 만나기도 하지만 나하고 안 맞는 사람을 만나기도 하죠.
여행은 인생과 같다고 하죠. 배울 게 많습니다.
마을버스 세계를 가다라는 책 꼭 읽어보고 싶어요.
여행은 작은 인생 맞습니다.
새로운걸 경험하고 알아 가는게 항상 좋죠..
그래서들 여행,여행 하는 모양입니다.
김치버스 프로젝트
정말 좋은 경험이기도 했겠지만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해요
아..
버스타본지가...
기억도 안나네요
이런 마을버스는 탈때 사람냄새 나서 좋은데..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김치 버스 프로젝트에 대한 내용도 언제 한번 찾아 봐야겠습니다.
마을 버스는 저도 타 본지 오래 되었습니다.
여행은 사람여행이다.
참 가슴에 와닿는 글입니다.
이국에서 생면부지의 사람과 만나
손발짓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면서 서로를 알아간다는 것이
보통 인연은 아니겠죠?..ㅎ
그런 인연을 만난 이야기가 책 내용 대부분입니다.
장기 여행은 그런면이 있어야 합니다.
이 분 알아요.
마을 버스타고 세계 여행.
제 다른 글벗께서 이 책 서평을 쓰신 걸 보고 꼭 한번 읽어 봐야겠다 생각했는데요.
공수거님께서 잊고 있었던 숙제를 알려주셨네요~~ ㅎㅎ
무엇을 이루기에는 늦은 나이는 없다.
세계일주~~
꿈의 꿈입니다.
방송 출연과 강연을 많이 하셨더라구요.
지금도 강연 많이 다니시고..
한번 읽어 보실만 합니다
자님의 꿈 꼭 이루어 지실겁니다.
언젠가 뉴스에서 보았던 기억이 납니다.
여행 좋아는 하지만, 아무나 할 수 없는 여행
부럽기만 합니다.
그런데, 계속되지 못하고 결별하였다하니
어떤 사정으로 그리 되었는지는 안타깝습니다.
좀 더 많은 여행을 함께 하였으면 더 좋았을텐데...
결국 여행은 사람이다 마음에 새겨봅니다.
네 같이 다니시던 분이 지병이 있어 중간에
귀국을 하였다 합니다.
같이 오랜 여행을 하는것도 쉽지 않은 일입니다.
전 한국이라도 샅샅이 다녀 보고 싶습니다.^^
좋은글 잘 보고 공감누르고 갑니다 ~
여유로운 하루 보내세요^^
저도 요즘 책을
읽어볼까하는데^^
잘보고가용>_<
육아땜에 힘 드시겠지만 시간 되시는대로
아이와 함께 책을 읽으시는것도
좋을듯 합니다..ㅎ
저도 상상속에서 이런 여행을 꿈꾸었었는데요.
실천으로 옮기신 분은 정말 대단한것 같아요.
잘 보고 갑니다.
실천이 가장 큰 요소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멋진분이시네요
저도 세계여행을 꿈꾸지만 두려움이 앞서 주춤거리는데 버스로 세계를 다니시다니 존경받아도 될분이네요^^
아무나 할수 없는 일을 하셨습니다.
여행은 용기인것 같습니다.
우와 버스로 유라시아 대륙횡단을
하다니요 대단합니다 정말
그길이 마냥 편하지만도 않을텐데
대단한 용기를 가졌다는 생각듭니다
정말 대단한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자신감이 가득한 분이셨습니다.
저도 주말에 한 번 읽어 봐야겠네요 ㅋㅌㅋ
읽어 볼만한 책입니다,ㅎ
멋지네요. 곧 미래가 되겠지만요^^
꿈을 한번 키워 보시죠^^
사람들 중 99%는 그 꿈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현실과 타협하고 만다. 라는 말이 마음을 울리네요 ㅠ
김치버스가 뭐지? 했는데.. 김치를 알리기 위해 디자인한 버스이군요..
대단하신 분입니다..!
저도 조금씩 행동으로 옮기도록 노력해 봐야겠습니다..^^
이분은 여행다녀온 후 상업적인 측면이 너무 강한듯 보이는듯 그래서 책안봅니다.온통 도배 숨은여행자 블로그는 넘칩니다. 솔직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