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 깊은곳/고택,고건축물
(거제 여행 ) 김영삼 전 대통령 생가
이수도에서 집으로 돌아가기 전 잠깐의 시간이 있어 가까운 관광지나 유적지를 보고
가기로 했다
지도를 보니 김영삼 전 대통령 생가와 기념관이 매미성과 가까운 곳에 있어 들렀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지금으로 말하면 금수저 집안 출신이다
배를 10여척이나 보유한 선주이며 멸치 어장을 보유한 집안의 장남이다
어머니는 1960년 무장공비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 김영삼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진 분
그러나 대통령이 되기 위한 3당 합당과 재임 시 IMF 사태에 대한 미흡한 대처는 과로 남아 있다
그가 남긴 신념과 아래의 말은 아직도 회자되고 있다
☞ 대도무문(大道無門)
☞ 닭의 목을 비틀지라도 새벽이 온다는 사실은 자명합니다
☞ 생가
1893년 목조기와 건물 5동으로 세워진 생가는 100년 이상의 세월이 흐르면서 건물 전체가
심하게 노후되어 전면적인 정비가 시급했다.
그러던 중 2000년 8월 김영삼 대통령의 부친 고 김홍조옹이 대지와 건물 일체를 거제시에
기증하였고, 거제시가 문화유산으로 길이 보존하기 위해 2001년 5월 9일 현재의 모습으로
중건 하였다.
현재 총 대지면적 536㎡에 목조 기와 건물 3동(본채 75.24㎡, 사랑채 27㎡, 사주문 5.81㎡)과
석축 및 석장 130m가 축조되어 있다.
본채의 상량문은 김영삼 대통령의 친필이며 생가에서 바라보이는 왼쪽 산 능선에
부친 고 김홍조옹과 모친 고 박부연 여사의 묘소가 있다.
본채
대도무문
김영삼 전 대통령이 직접 쓴 상량문
대통령의 조부모
부모
사랑채
흉상과 등신대
☞ 1월 2일 아내, 친지
'인상 깊은곳 > 고택,고건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희갑 전 대구시장-인흥마을 (남평문씨 세거지) (121) | 2022.03.02 |
---|---|
(거제 여행 ) 김영삼 전 대통령 생가 (135) | 2022.01.20 |
(경북 칠곡) 동산재 (50) | 2021.10.29 |
( 경북 칠곡) 묵헌 종택 (118) | 2021.10.29 |
( 구미 문화재 ) 의구총 (義拘塚), 낙산리 삼층석탑 (114) | 2021.09.30 |
구미 일선리 문화재 마을 (78) | 2021.09.17 |
'인상 깊은곳/고택,고건축물'의 다른글
- 이전글이수도 민박집-학교 민박
- 현재글(거제 여행 ) 김영삼 전 대통령 생가
- 다음글황정민의 영화 인질
관련글
- 이전 댓글 더보기
-
이곳은 저도 들려본 곳이에요.
답글
남편과 명당찾아다닐 때 들렸지요.
그러나 이젠 아!~~ 옛날이여가 되어버렸습니다.^^ -
김영삼 전 대통령 생가가 거제에 있군요.
답글
저는 김영삼하면 일본에 대하여 '버르장머리를 고쳐주겠다'라는 말이 생각이 납니다.ㅎㅎ -
저는 생가는 잘 가본 곳이 없는데
답글
공공님 덕분에 랜선으로 여기저기 다녀 보네요 ㅎㅎ
이 분도 부유한 집안이셨군요~
마지막 사진에 모형으로 서 있는 두 분이 진짜 같아서 깜짝 놀랐네요! -
-
-
-
-
-
-
IMF라는 과가 크게 보여서 그렇지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는 공이 더 크다고 생각되는 대통령 중의 한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전 대통령직을 잘 수행한 대통령중의 한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답글
몰랐는데 거제도에 본가를 두셨군요. 나중에 여행가게 되면 김영삼 대통령 생각도 들러보겠습니댜.^^ -
-
-
갱상도 사투리를 격하게 혀짧게 쓰시던 대통령이셨지요.
답글
거제도에서 두분의 대통령이 나셨네요.
26세 국회의원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구요.^^
-
-
-
-
-
-
-
김영삼 전 대통령 생가가 매미성 근처에 있었군요
답글
김영삼 전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면서 생가 가는 길을 낸다고
산을 밀어버리는 바람에 아버님 묘를 이장하게 되었어요
울 큰집 마을은 2번 이상 이장하면 안되는 이상한 풍습이 있어서
묘를 또 쓰지 못하고 거제도에서 풍경이 가장 이쁜 여차 바닷가에 뿌렸는데
보상을 받기는 했지만 김영상 전 대통령 생가를 보니 그때 생각이 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