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루를 돌아 보고 마지막 돌아가는길에 작곡가 빅시춘 생가와 무봉사를 보고 밀양 여행을 마무리 하였다
박시춘( 1913~1996 )은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든 가요계 대표적인 친일행위자이다.
〈고향초〉, 〈가거라 삼팔선〉, 〈신라의 달밤〉, 〈비 내리는 고모령〉, 〈낭랑 십팔세〉, 신세영이 부른 〈전선야곡〉,
〈전우여 잘 자라〉, 〈굳세어라 금순아〉, 〈이별의 부산정거장〉, 〈럭키 서울〉 등 수많은 히트곡을 발표했고.
약 3천여 곡의 노래와 악상을 남겼으나 젊은시절 친일 가요와 혈서 지원을 하는등 대표적인 가요게 친일인으로
역사는 기록할것이다.
가요박물관을 짓겠다는 이야기가 있엇으니 친일 논란으로 흐지부지 되었고 생가도 보존 여부가 불투명하다
박시춘 생가 반대편으로 올라가면 무봉사가 나온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
773년(혜공왕 9)법조(法照)가 현재의 영남루 자리에 있었던 영남사(嶺南寺)를 순례하다가 큰 봉황새가 이곳으로
날아와 앉으므로, 상서로운 성지라 생각하고 창건하였다.
무봉사로 올라가는길..5분이면 된다
무봉사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 493호
신라 혜공왕 9년(733)에 법조가 영남사의 부속암자로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무봉사의 대웅전에 모셔진 높이 0.97m의 불상이다.
네모진 얼굴에 가는 눈과 입, 넓적한 코, 짧은 목 등이 다소 평판적으로 표현되기는 했으나 단정한 인상을 풍긴다. 어깨는 넓고 둥근 편으로 가슴이 다소 움츠러들어 보인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너무 두꺼워서 옷주름과 신체의 굴곡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는 2줄의 볼록한 선으로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구분하고, 그 안에 덩굴무늬와 연꽃무늬를 새겨 넣었다. 광배의 바깥부분에는 불꽃이 타오르는 모양을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광배의 앞면에 5구의 작은 부처를 새겼으며, 뒷면에는 연꽃무늬 대좌(臺座) 위에 앉아 있는 약사여래를 조각하였다. 광배 뒷면에 불상이 새겨진 표현은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36호)과 같은 것으로 드문 예이다.
단정하고 양감있는 신체표현, 간략해진 옷주름, 화려하고 복잡해진 광배의 표현 등으로 볼 때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보인다 ( 국가문화유산포털에서 인용 )
밀양 여행이 이렇게해서 끝났다.
유익했던 여행이었으며 한번 더 찾아야겠다는 생각을 햇다.
밀양은 선비의 고장이며 항일의 고장이었다.
☞ 7월 6일 아내,친지
'인상 깊은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화의 소녀상,평화비-구로역 광장 (118) | 2019.09.30 |
---|---|
추석 성묘 (53) | 2019.09.29 |
(밀양 여행 )친일작곡가 박시춘 생가,무봉사 (44) | 2019.09.28 |
( 부산여행 ) 영도 흰여울문화마을 (106) | 2019.09.26 |
( 부산 여행 ) 절영해안산책로 ( 입구-흰여울해안터널 ) (112) | 2019.09.18 |
( 통영 여행 ) 동피랑벽화마을,동포루 ② (58) | 2019.09.1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즐거운 주말 잘 보내세요~
포스팅 잘 보고 갑니다~
여유로운 휴일 보내시기 바랍니다.^^
석조여래좌상의 온화한 자태가
시선을 잠시 멈추게 하네요
여유로운 주말보내세요.. ^^
불상은 보는 사람을 참 편안하게 해 주는것 같습니다.
휴일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부끄러운 역사도 우리의 역사입니다.
독일과 일본의 차이.
과거 바람직하지 않은 역사를 후대 사람들에게 교육의 장으로 삼아 다시는 그러한 부끄러운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고 실천하느냐의 차이겠죠.
오늘 대문에 걸린 제목과 일부 글을 읽고, 문뜩 떠올라 몇자 적어 봅니다.
기억해야할 역사입니다.
그러나 그 의도를 잘 알아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늘이 준 재주를 왜놈들의 비위나 맞추는 인간들....
아직도 곳곳에 그런 인간들이 숨어 있습니다.
독립운동은 못해도 친일은 안해야 되는데 말입니다.
기회주의적인 사람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
본질을 잘 알면 그렇지 않다는것을 아실겁니다.^^
친일행위만 아니면 국민적 추앙을 받을것인데 아쉽군요.
이런분들 보면 가끔 그시대에 내가 있었다면 난 어땠을까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독립운동은 하질 못했지만 저극적인 친일 활동도 안했지 않나 싶습니다.
친일 행위를 했던 작곡가 군요...
그 자식들은 그 친일 행위로 번 돈으로 잘 살고 있겠죠?? ㅂㄷㅂㄷ하네요..ㅜㅜ
일찍 고리를 끊고 단죄를 했었어야 하는데
말입니다.
친일의 뿌리를 못뽑은게 참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ㅠ
멈추지 말고 계속 해 나가야 할일입니다.
제가 알던몇곡이 이분의 손에서 만들어진곡이였군요
유명한 노래는 많네요..
동상에 모자이크.ㅋㅋㅋ 빵터졌어요 ㅋ
그렇게 해 보고 싶었습니다..ㅎ
그걸 봐 주셨네요^^
항일의 고장에서 친일의 행적을 찾고 오셨군요. 모자이크라니 대단하십니다 ㅋㅋ 얼굴조차 내보이지 않으시겠단 뜻인가요? ㄷㄷ
친일이란건 포스팅하면서 나중에 알았습니다.
방문 당시에는 잘 몰랐습니다 ㅡ.ㅡ;;
밀양여행을 마무리 하셨군요.
박시춘이 친일행적을 했다는건 몰랐네요.
오래된 무봉사에 대해서도 알고 갑니다. ^^
즐거운 주말 되세요~
저도 나중에 알았습니다.
무봉사는 강이 내려다 보이는 조망이 아주
좋았습니다.ㅎ
포스팅 잘 보았습니다.^^
여유로운 휴일 되시기 바랍니다.^^
좋은 글~^^
잘 보고 공감하고 갑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남은 휴일 편안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정말 뜻깊은 곳이네요 ㅎ
저도 다음에 가봐야겠네요 ^^
밀양 가시는길 한번 들러 보시기 바랍니다.
나중에라도 밀양 여행을 가게되면 꼭 참고해야겟어요^^
알고 가시면 좋죠^^
나라에 해가되는일을 한사람들은 역사에서도
꼭 심판해야합니다!
지당하신 말씀이십니다.^^
헐... 엄청 유명한 곡들이 많은데 친일 작곡가의 곡이었네요ㅠㅠ 조각상에 모자이크하신 센스^^;;ㅎㅎㅎ에 감탄했습니다. 친일행적을 했는데도 독립운동가로 기록되는 일까지 있던데ㅠㅠ 친일파의 뿌리를 지금이라도 다 뽑아내는 게 정말 필요한 듯해요. 무봉사 뷰가 정말 좋네요. 도심과 아주 먼 곳에 있지는 않은가 봐요. 편안한 주말 보내시길요^^
영남루 바로 근처에 있었습니다.ㅎ
강을 내려다 보는 좋은 위치에 있었고요..
친일은 청산해야 합니다.^^
박시춘 생가에는 들려보았지만,
다른 일정이 빠뜻하여 무봉사는 통과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이 건국초기에 친일파들을 색출해내지 않고
그대로 둔게 화근이 되었지요.
늦었지만, 밝혀내어 응징함이 마땅하다 생각합니다.
무봉사는 바로 옆에 있었는데..ㅎ
아쉽네요.
맞아요 초기에 친일 경찰을 중용한게 잘못이었습니다.
특히 을사오적의 재산은 반드시 환수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음악교과서 편찬에 관여했던 대부분의 사람들이 친일음악가라고 하더군요. 친일청산이 필요하지 않은 분야가 하나도 없는 것 같습니다.
음악가들이 많다는게 참..
독립운동은 못할지언정 친일은 안 하는게 맞을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