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 깊은곳
경주 소금강산 인근 문화재-탈해왕릉,표암,동천동 마애삼존불 좌상,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역시 경주는 도시 자체가 박물관이다
소금강산 트레킹이 목적이었지만 주위에 많은 유적들 안 보고 갈 수가 없다
소금강산 주위 유적들을 보고 간략하게 소개를 한다
탈해 왕릉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먼저 본 것은 숭신전이다
숭신전은 신라 석 씨 8 왕의 사당이다
문이 잠겨 있어 외관만 보았다
바로 옆의 소나무 숲을 지나가면
탈해 왕릉이다
☞ 사적 경주 탈해왕릉 (慶州 脫海王陵)
신라 탈해왕(재위 57∼80)의 무덤으로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왜국 동북 1,000리 지점에 다파나국의 왕비가 알을 낳았는데 불길하다 하여 보물과 함께
궤짝에 넣어 바다에 띄워 보냈다.
처음에는 금관국(김해)에 닿았으나 사람들이 이상하게 여겨 아무도 거두지 않았고 다시 진한의 아진포에 닿았는데
노파가 거두어 키웠다.
궤짝이 떠오를 때 까치 한 마리가 따라다니며 울었다고 하여 까치 작(鵲)자에서 조(鳥)를 떼고 석(昔)으로
성을 삼고, 아이가 궤를 풀고 나왔다 해서 이름을 탈해(脫解)라 지었다.
탈해왕은 석(昔)씨의 시조로서 신라 최초 석씨 왕이 되었다.
높이 4.5m, 지름 14.3m의 둥글게 흙을 쌓아 올린 원형 봉토 무덤이다.
주변에 아무런 시설을 하지 않았으며, 겉으로 보아 내부는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으로 추측된다.
탈해 왕릉 옆에는 표암이 있다
☞ 경상북도 기념물 경주표암 (慶州瓢巖)
표암이란 ‘박바위’, ‘밝은바위’를 뜻하는데, 신라 6촌 가운데 알천 양산촌의 시조 이알평이 이 바위에 내려와
세상을 밝게 하였다하여 표암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B·C 69년 6촌장이 여기에 모여 화백회의를 열고 신라 건국을 의결했으며, 그 후 B·C 57년 신라가 건국되었다.
이와 같이 표암은 경주 이 씨 혈맥의 근원지인 동시에 신라 건국의 산실이고 화백이라는 민주 정치제도의
발상지인 성스러운 곳이다.
이러한 뜻을 새긴 유허비가 조선 순조 6년(1806)에 세웠고, 1925년에 표암재가 건립된 뒤 매년 3월에 그 뜻을
기리며 제사를 지내고 있다.
뒷 산을 조금 올라 가면 표암 유허비가 있다
그리고 광림대 석혈이 있다
☞ 광림대 석혈
신라 제4대 석탈해왕릉 옆에 있는 표암재 건물 뒤편으로 올라가는 곳에 광림대 석혈이 있다.
96개의 계단을 올라가면 유허비각이 있고 그 오른쪽 뒤를 돌아 조금만 올라가면 경주 이 씨의 시조 이알평이
하늘에서 내려와 목욕했다고 설화로 전해지는 광림대 석혈이 있다.
광림대안에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알터 모양의 둥근 타원형 형태의 파인 돌이 있다.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경주동천동마애삼존불좌상 (慶州東川洞魔崖三尊佛坐像)
경주시 동천동 금강산의 정상 동쪽에 위치한 자연 바위벽에 새긴 삼존불상이다.
중앙에는 본존불이 앉아 있고, 양쪽에는 협시보살이 새겨져 있다.
오른쪽 협시보살의 머리에 쓴 보관(寶冠)에 작은 부처가 조각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아미타삼존불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본존불의 높이가 약 3m에 이르는 거대한 마애불이지만 선각에 가깝게 새겨 부분적으로 마멸이 심하다.
조각된 옷의 표현과 손의 모습 등은 통일신라시대 마애불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 보물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慶州 掘佛寺址 石造四面佛像)
경상북도 경주 굴불사터에 있는 이 불상은 바위의 서쪽에는 아미타여래불, 동쪽에는 약사여래불, 북쪽에는 미륵불,
남쪽에는 석가모니불을 각각 새긴 사방불(四方佛) 형태이다.
『삼국유사』 에 의하면 신라 경덕왕이 백률사를 찾았을 때 땅속에서 염불 소리가 들려왔다고 한다.
땅을 파 보니 이 바위가 나와서 바위의 사방에 불상을 새기고 절을 지어 굴불사라 하였다고 전한다.
이 기록만으로는 분명하지 않지만, 여러 가지 여건으로 보아 이때쯤 불상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쪽의 아미타여래는 신체만 돌기둥에 조각했고 머리는 따로 만들어 놓았는데 머리가 얼굴보다 크게 표현되어
꼭 모자를 쓴 것처럼 보인다.
신체는 당당하고 굴곡 있게 표현되어 있으며 손과 발 또한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있다.
좌우에는 다른 돌로 보살입상을 세워 놓아서 3존불의 모습을 띠고 있다.
동쪽의 약사여래는 양 발을 무릎위로 올리고 앉아 있는데 몸 전체가 앞으로 숙여져 있다.
얼굴 표현은 매우 세련되었으며, 신체는 활기차고 긴장감이 넘쳐 보인다.
북쪽면의 오른쪽에는 도드라지게 새긴 보살입상이 서 있고, 왼쪽에는 6개의 손이 달려있는 관음보살을
얕은 선으로 새겼다.
오른쪽의 보살상은 둥글고 예쁜 얼굴, 굴곡 있는 우아한 자세 등 그 표현이 매우 뛰어나다.
남쪽면은 원래 3존상으로 되어 있었는데 일본인들이 오른쪽 보살을 완전히 떼어 가고 가운데 본존상의 머리마저
떼어갔다고 한다.
미래세계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불을 표현한 것인데, 굴곡이 진 신체의 모습과 얇은 옷 주름의 묘사가
매우 뛰어난 솜씨를 자랑하고 있다.
이처럼 입체의 표현, 음각과 양각의 표현, 좌상과 입상의 표현 등을 변화있게 배치한 점은 매우 특이한 경우이다.
풍만하고 부드러우면서 생기를 잃지 않은 솜씨를 볼 때 통일신라 초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라 하겠다.
다른 지방에서는 보기 힘든 문화재들이 경주는 널려 있어 조금만 움직여도 많이 볼 수 있다
☞ 10월 16일 아내,친지
'인상 깊은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옥천 8경 ) 향수호수길 날망마당<-->물비늘 전망대 (139) | 2021.11.22 |
---|---|
합천 목재문화체험장,코끼리 미끄럼틀,분재 온실 (70) | 2021.11.18 |
경주 소금강산 인근 문화재-탈해왕릉,표암,동천동 마애삼존불 좌상,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90) | 2021.11.18 |
(백제 역사 유적 탐방) 백제의 흔적을 찾아-구수산 도서관 문화 행사 (111) | 2021.11.17 |
( 합천 볼 만 한 곳 ) 청와대 세트장 (92) | 2021.11.12 |
( 대구,경북 단풍명소) 고령 다산 은행나무 단풍 (142) | 2021.11.11 |
Tag
'인상 깊은곳'의 다른글
- 이전글(백제 역사 유적 탐방) 백제의 흔적을 찾아-구수산 도서관 문화 행사
- 현재글경주 소금강산 인근 문화재-탈해왕릉,표암,동천동 마애삼존불 좌상,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 다음글합천 목재문화체험장,코끼리 미끄럼틀,분재 온실
관련글
- 이전 댓글 더보기
-
-
경주는 정말 가볼 곳이 참 많죠.
답글
정말 시간만 있다면 천천히 경주 여행을 하고 싶네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
-
-
-
-
-
-
-
-
-
경주는 초등학교 다닐 때 수학여행으로 간 적이 있습니다. 왕능 속에 들어가서 전시품을 구경했던 기억이 나네요.
답글 -
-
경주에도 오셨군요!
답글
어릴 때부터 마르고 닳도록 가본 곳이기도 해서 반갑네요.^^
경주는 지붕이 없는 박물관, 하늘이 지붕인 박물관이란 말이 있고 경주가서 굴러가는 돌맹이마저 함부로 차지 마라. 그 돌맹이가 네가 알지 못하는 문화재일수있단 농담섞인 말도 있을 정도니까요.^^
그만큼 볼 것도 많고 귀한 사적지도 많죠.
정말 아껴줘야 할 곳이죠.^^
그런 경주에 가서 어느 관종들이 suv차량을 높디높은 고분 정상에다가 주차하고 내려오는 어이없는 일을 저질러서 발칵 뒤집힌 것을 인터넷 기사로 봤었네요.
주위 사람들이 보고 신고를 해서 잡아왔더니 차들이 모두 주차되어 있어서 주차할 곳이 없어서 그랬다, 작은 동산인 줄 알았다며 황당하고 어이없는 변명을 했다는 걸 보고 황당했던 것 같아요.
다들 거기가 어디라고 차를 그것도 꼭대기에 주차하냐고. 니네는 자기 조상 무덤 위에 차세우냐, 그냥 봐도 동산이 아니라는 거 안보이냐, 어느 지역에 그런 동산이 한두군데도 아니고 여러군데 퍼져있냐, 재네들 중국ㄴ들 아니냐 등등 말들이 많더라구요.^^;; -
아기자기한 스님 조각들이 너무 귀여워 보이네요~
답글
경주에 보면 정말 볼거리가 너무 많은것 같아요. 잘 보고 갑니다. -
경주는 도시 자체가 박물관이라는 말씀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졌습니다..ㅎㅎ
답글
경주는 그동안 여러번 가보았지만
늘 여럿이 함께라 문화재는 제대로 살펴보지는 못했거든요
신랑이랑 일박하면서 제대로 구경하고 싶어졌어요..^^ -
말씀하신대로 경주는 지역자체가 박물관이네요.
답글
일본인들은 우리나라에 참 많은 민폐를 끼쳤네요. 안타깝습니다.
문화재도 좋은데, 주변 소나무들이 분재처럼 예술이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