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여행을 한다면 여기 영남루에는 한번 올라와 봐야 한다.
이번 밀양 여행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곳이기도 하고 귀중한 우리 문화재를 등으로 체험한곳이다.
영남루는 진주 촉석루,평양 부벽루와함께 한국의 3대 누각으로 꼽힌다
▶밀양 영남루 : 보물 제147호 1963.1,21 지정
조선시대 밀양도호부 객사에 속했던 곳으로 손님을 맞거나 휴식을 취하던 곳이다. 고려 공민왕 14년(1365)에
밀양군수 김주(金湊)가 통일신라 때 있었던 영남사라는 절터에 지은 누로, 절 이름을 빌어 영남루라 불렀다.
그 뒤 여러 차례 고치고 전쟁으로 불탄 것을 다시 세웠는데, 지금 건물은 조선 헌종 10년(1844) 밀양부사
이인재가 새로 지은 것이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기둥은 높이가 높고 기둥과 기둥 사이를 넓게 잡아 매우 웅장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으며, 건물 서쪽면에서
침류각으로 내려가는 지붕은 높이차를 조정하여 층을 이루고 있는데 그 구성이 특이하다. 또한 건물 안쪽
윗부분에서 용 조각으로 장식한 건축 부재를 볼 수 있고 천장은 뼈대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연등천장이다.
영남루는 밀양강을 내려다 보는 곳에 위치해 있다
멀리서 봐도 위용이 대단해 보인다,우측은 침류각이다
능파각
본루 동편에 위치한 익루(翼樓)로, 본루보다 1칸 북쪽으로 돌출하여 건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집으로 측면에는 전후퇴를 두었는데, 남천강 쪽의 퇴칸은 조망을 고려해서 툇마루를 시설하여 개방한 반면
배면의 북측 퇴칸은 모두 온돌방에 통합되어 있다
영남루에는 많은 현판이 있다. 한때 수백개가 걸려 있었다 한다
영남루라는 현판만 3개가 있다
누각의 하부기둥
영남루에서 내려다 보는 밀양강
좌로 교남명루 ,영남루 ,강좌웅부 편액이 걸려 있다
영남루의 글씨는 당대 명필로 유명했던 송하(松下) 조윤형(1725~99)이 썼다. ‘무신(戊申) 월(月) 일(日)서(書)’라는
낙관 글씨와 ‘조윤형인(曺允亨印)’이라는 도장이 새겨져 있다. 무신은 조윤형의 생몰년대로 보아 1788년으로 보이는데
, 현재의 건물을 중건하기 전의 누각에 걸려있던 편액인 것으로 추정된다. 64세의 나이에 쓴, 무르익은 필치를 잘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관람인원이 제한이 있다
문화재의 안전과 관람객의 안전을 위하여 동시 입장 60명 이하로 제한 한다
능파각
강바람이 살살 불어와 엄청 시원했다
나도 다른분들과 마찬가지로 10여분을 앉아 있기도 하고 누워 있기도 했다
영남제일루는이현석의 형인 이증석이 11세때 썼다고 되어 있다
이현석이라는 7세 아이가 쓴 영남루 현판..명필이다
이현석은 영남루를 증수할 당시 밀양 부사였던 이 인재의 둘째아들이다
만덕문 천진궁으로 들어가는문
영남루 맞은편에는 조선 후기 역대 8 왕조의 시조 위패를 봉안한 천진궁이 있다
▶천진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7호
정면 3칸, 측면 2칸의 주심포식 단층팔작지붕 목조와가집이다.
영남루(嶺南樓)의 부속건물로서 1652년(효종 3)에 창건되었으며 공진관(栱桭館)이라 부르기도 한다.
단군이래 역대 8왕조의 시조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매년 음력 3월 15일 어천대제(御天大祭), 음력 10월 3일 개천대제(開天大祭)를 봉행하고 있다.
( 한민족문화대배과 사전에서 인용 )
밀양을 찾으면 다른곳은 몰라도 여기는 꼭 들러 봐야 되는곳이다
☞ 7월 6일 아내,친지
'인상 깊은곳 > 고택,고건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통영 여행 ) 착량묘-수군과 지방민이 세운 이순신장군 사당 (52) | 2019.09.13 |
---|---|
( 밀양여행 ) 밀양 관아지-조선시대 밀양지방 통치의 중심지 (94) | 2019.08.29 |
( 밀양 여행) 영남루,천진궁-밀양을 가면 한번 찾아야 할곳 (110) | 2019.08.21 |
( 밀양 여행) 월연대(월연정) 일원- 명승 제87호, (92) | 2019.07.25 |
( 밀양 여행 ) 오연정 ( 鼇淵亭 ) (107) | 2019.07.19 |
영양 주실마을,지훈 문학관,조지훈 생가 호은종택 (87) | 2019.05.22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잘 보고 공감 누르고 갑니다~
좋은 밤 되세요^^
오늘 하루도 멋지게 보내세요^^
오랫만에 영남루 둘러봅니다.
두어번 다녀온 곳이지만, 밀양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곳이 영남루지요.
루각에 걸린 현판과 편액들이 참 많지요.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하시네요.
건강 조심하셔요.^^
저는 이번에 처음 다녀 왔습니다.
밀양이 선비의 고장이라 여러번 다녀 가셨을걸로 충분히 생각되었습니다.
한번 다녀온 지방을 천천히 올리다 보니 그렇게 느껴져셨을듯 합니다.^^
밀양에는 여행할곳이 참 많은것 같습니다.
영남루에서보는 주변경관이 매우 아름답네요
하루 보는것으로는 안 되겠더군요.
다시 한번 더 가야 합니다.
영남루에서 바라보는 밀양강 풍경이 멋지네요.
바람 솔솔 부는날 앉아있기 좋을 것 같아요 ^^
여기 올라서니 바람이 더 부는것 같았습니다.ㅎ
영남루는 정말 자주 가봤어요. 갈때마다 참 괜찮더라구요. 3대누각이라는 말이 전혀 어색하지 않았어요.
평양을 안 가 봤지만 최고가 아닐까 생각을 해 봅니다..ㅋ
잘 보고 갑니다. 가을바람 불면 한번 찾아가볼까하네요~ ㅎ
가을 밀양.좋죠^^
밀양은 제가 아직 혼자 계획을 짜본 곳이 아닌데.. 이런 글들 보면 한번 주변 도시까지 1박 2일로 가봐야 하나 생각이 듭니다.
우리나라 참 갈 곳 많네요 ^^
1박2일로 충분히 볼만한곳입니다..제 기준으로는..ㅎ
언제 다녀 오시길 바라겠습니다.
저도 저 바닥에 누워있고 싶어요.
최고의 피서일텐데....^^
등허리가 시원했습니다.
그리고 옆으로는 강바람이 불어오고요^^
누각이 꽤 넓네요. 윗분 말대로 누워서 휴식도 취하고 강을 내려다 보면 신선놀음이 따로 없겠어요ㅎㅎ
시간만 충분했으면 신선이 될뻔 했습니다.
아주 오래된 곳이네요. 단군 8왕조 위패를 모시는 곳이라니.. 밀양에 가게되면 영남루는 꼭 들리고 싶어요. 저도 누각에 누워 시원한 바람을 느끼고 싶네요. ^^
네.밀양 가시면 여기 들러 보시면 좋습니다.
볼게 주위에 좀 있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ㅎㅎ 굿밤되세요^^
편안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진주 촉석루는 아는데 연남루는 처음 들어보았어요~
영남루는 가본적은 없지만 사진으로만 보아도
왜 3대 누각이라 부르는지 알것 같아요~
누각에 앉아 있으면 시원한 강바람에 모든 걱정 근심이 다 사라질 것 같아요..^^
다시 한번 가서 누워 보고 싶네요.
정말 멋진곳입니다..ㅎ
밀양여행에서 영남루는 꼭 가봐야 할거 같아요.
풍경이 너무 이쁘네요. ㅎㅎ
밀양을 가시면 첫번째로 보고 와야 할곳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조선시대 역사를 보면 위패를 정말 귀하게 잘 모셨던거 같아요.
과거 건축물을 보면 정말 현명하고 얼마나 사려깊게 지었는지가 느껴집니다.
요즘도 그런 문화와 풍습이 남아 있는듯 합니다.
사찰에 위패 모신분들이 많습니다.
영남루는 정말 잘 지은 건물입니다.^^
전주에도 이와 비슷한 누각이 있었는데,
시원하게 바닥에 누으면, 잠이 솔솔오겠는데요.ㅎ
오목대를 말씀하시는건가요?
오목대보다는 훨씬 큰곳입니다.^^
죄송합니다.ㅋㅋ 제가 말씀드린 것은 남천교인데, 옛날에 지어진것이 아닌가본데요.ㅋㅋㅋ
그렇군요 남천교 같은곳은 경주에도 최근 만들어졌습니다. 월정교^^
아 그리고 통영에 세병관이라고 국보가 있습니다.
수많은 현판으로 옛날에는 엄청 화려했을 것 같아요.
영남루에 잠시 누워보고 싶네요.
그곳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정말 멋진 듯 싶어요. ㅎㅎ
한잠 잠 들면 과거로여행을 하는 꿈을 꿀듯한곳입니다..ㅎ
세월의 흔적도 느껴지고
여름에 올라가서 누워있음
엄청 시원하겠는데요
누워있으면 내려 오기 싫을듯 합니다..ㅎ
밀양 여행시 첫번째로 들려야 할 장소이군요? 참고해야겠습니다
밀양 여행시 들르시면 좋습니다..
이야 밀양 정말 좋은 곳 같습니다 ㅎㅎ
정겨운 이름이죠?
영남루에 잠시 누워보고 싶다는 댓글이 많은데
정말 한번 누워있으면 내려오기 싫을 것 같습니다 ㅎㅎ
잠자도 뭐라 하는 사람 없습니다..ㅎ
영남루에서 강바람을 맞으며 강을 내려다보면 신선이 따로 없겠어요^^ 전경이 좋아 밀얄 여행 시 들리면 좋겠네요! 해피 주말 되세요~
영남루에 올라서면 누구나 신선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