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련사에서 대동문까지 그럭 저럭 올라와서는 이제 내려 가야 하는데 다른 길로 내려 가 보고 싶었다
마침 국립공원 관리공단 직원이 보이시길래 여쭤 봤더니 공원사무소쪽으로 내려 가는길이 좋을것 같다고
말씀을 하셔서 그길로 내려 오기로 했다
☞ 2018/09/21 - [인상 깊은곳/산_사찰] - 북한산(북한산성) 탐방: 백련사-대동문
★ 북한산 ( 북한산성 ) 탐방 여정
- 백련공원지킴터-백련사 입구-서상일묘-진달래 능선 사거리 ( 1.3KM) -운가사 갈림길-소귀천 계곡 갈림길
대동문 ( 1.5Km )-칼바위 능선 입구-보국문-대성문 (1.2Km )-일선사 삼거리-영취사-북한산 국립공원 사무소
정릉탐방지원센터-정릉탐방 안내소 ( 5.2Km ) 총 9.2Km 휴식 중식 시간 포함 6시간 정도 소요
백제가 수도를 하남 위례성으로 정했을 때 도성을 지키던 북방의 성이다.
백제 개루왕 5년(132)에 세워진 곳으로, 11세기 초 거란의 침입이 있을 때 현종이 고려 태조의 관을 이곳으로 옮겨 오기도 했다. 고려 고종 19년(1232)에 몽고군과의 격전이 있었고, 우왕 13년(1387)에 성을 다시 고쳐지었다. 조선시대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도성 외곽을 고쳐짓자는 의견이 일어나 숙종 37년(1711) 왕명으로 토성을 석성으로 고쳐지었다.
성의 규모는 대서문, 동서문, 북문 등 13개의 성문과 불을 피우던 곳으로 동장대, 남장대, 북장대가 있었다. 성내에는 중흥사를 비롯한 12개의 사찰과 99개의 우물, 26개의 작은 저수지, 그리고 8개의 창고가 있었다. 현재 북한산성에는 삼국시대의 토성이 약간 남아 있기는 하나 대개 조선 숙종 때 쌓은 것으로 여장은 허물어 졌고, 대서문과 장대지·우물터·건물터로 생각되는 방어시설 일부가 남아있다.
이 지역은 고구려, 백제, 신라가 서로 차지하기 위해 쟁탈전을 벌였던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도성을 지키는 중요한 곳이었다
조선시대 숙종(1711년)때 고려시대의 중흥산성을 바탕으로 축성된 산성이다. 14개의 문, 3개의 장대와 함께 유사시 어가를 북한산성으로 옮길 행궁을 건립하였다. 둘레가 7,620보(步)이다.
수문부터 용암문까지 훈련도감에서, 용암문에서 대성문까지 금위영에서, 수문부터 대남문까지 어영청에서 각각 만들었다.
대동문
국립공원 사무소 직원에게 길을 물었다
성벽을 따라 걸었는데 오르내림이 심했다
옛날 선조들이 대단하단 생각이 자꾸 든다
칼바위능선
곳곳에 버섯이 많이 보였다..
금위영이란 글씨가 보이는듯 하다
보국문
산성주능선에서 바라보는 북한산
노적봉,백운대,만경대
서울시가지가 내려보이는데 날이 흐려 좀 아쉽다
대성문
대성문(大成門)은 보국문과 대남문 사이에 위치한 북한산성의 문으로, 초기의 이름은 대동문(大東門)이었다. 규모는 조선 시대 단위로 높이 13척, 너비 14척이다. 문루는 1990년대에 와서야 우진각 지붕 형태의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복원되었다.
대성문은 해발 620M
한참을 내려와 영취사에 도달했다
영취사 오층석탑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40호
서울 지역에 몇 남지 않은 석탑이다.삭탑의 부재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공양이 1시까지인데 마지막 공양을 받았다
미역국을 잔뜩 주셨다
감로수로 목도 축이고
아내는 여기서 108배를 드리고
내려가다 신기한 돌을 봤다
누가 일부러 이렇게 만든건지는 모르겠으나 뭘 닮긴 닮았다 ㅎ
균형을 잘 잡은 돌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여기가 예전 그 유명한 정릉계곡이다
등산로 입구 갤러리앞 조형물
요긴 탐방안내소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다
오늘 걸은 걸음수가 24,000보쯤 된다.
내려 가기전 다른곳도 가볼려고 생각을 했는데 도저히 더 돌아볼 엄두가 나지 않았다
그대로 내려가려고 서울역으로...
'인상 깊은곳 > 산_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산 봉정암-고행(苦行) (84) | 2018.11.05 |
---|---|
설악산 백담사 (93) | 2018.11.02 |
북한산(북한 산성) 대동문-보국문-대성문-영취사-정릉탐방지원센터 (95) | 2018.09.28 |
고운사 사찰 음식 체험관 (54) | 2018.09.23 |
북한산(북한산성) 탐방: 백련사-대동문 (98) | 2018.09.20 |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의성 고운사,. 호랑이 벽화 (94) | 2018.09.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내려오는 길에 구석구석 살펴보신 부분을 사진으로 찍어주셔서 저도 잘 구경했네요.
돌 모양이 정말 특이합니다 ㅎㅎ
내려올때는 비가 조금 내려 많이 못 찍었습니다 ㅎ
옆에분이 발견한 돌이었습니다.ㅋ
와 이만보를 넘게 걸으려면 얼마나 길어야 할지..와 상상이 잘 안갑니다 ㅎ
국내에도 이렇게 이쁜 곳이 넘쳐나는데 해외만 고집한 제가 부끄러워지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ㅎ
정말 잘 보고 갑니다 ^^
올해 들어 많이 걸은날중의 하나였습니다.
전날도 좀 걸어 이틀동안 많이 걸었네요.^^
국내에 가 볼곳이 참 많습니다.
제대로 된 길도 없었을텐데 어떻게 우리 선조들은 저 산을 넘어다니셨을지,,
쉽게 상상도 가질 않습니다.
가을, 걷기 좋은 계절입니다.^^
정말 대단한일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경외심을 느낍니다.
썸네일 이미지부터 가을상징인
낙엽이 보이는군요^^ 가을 향기가 물씬 느껴집니다. 오랜만에 날잡아서 가을산행을 해볼까 합니다
좋은 주말 보내시길 바래요
이제 가을입니다.
산행하기 좋은 계절입니다.
북한산은 정말 갈 곳이 많네요. 최근에 저도 다녀왔습니다.^^
북한산은 등산로가정말 많은것 같더군요^^
북한산성 대동문, 보국문을 돌으셨네요.
편안한 밤 되시길 바랍니다.
힘들었지만 괜찮은 여정이었습니다.
휴일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한번도 가보지 못한 북한산성
덕분에 구경 잘 하고 갑니다.
편안한 시간 되세요.
언제 기회 되시면 한번 다녀 오시기 바랍니다.
명산입니다.
북한산은 아무리 가도가도 반갑고
지겹지않은 포근한 명산입니다.!!
포스팅 잘보고 갑니다.
정말 산행 코스가 많은것 같더군요.
가까이 있다면 자주 가 볼곳입니다.
가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
정말 이제 완연한가을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즐거운 휴일 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잘보고 갑니다! 좋은 하루 되세용!!!!!!
기분 좋은 휴일 되시기 바랍나다.
산성 성곽에 단풍잎이 빨갛게 물들어가기 시작했군요.
이제 온 산이 울긋불긋해지는 가을이 성큼 다가오고 있네요~
이제 10월이면 여기 저기서 단풍 소식이 들려 오겠군요^^
북한산 차로 30분정도면 가는데 한번도 안가봤네요;;;ㅎㅎ
역시 멋진 등산로입니다
보이는것도 멋지더군요.
언제 가실 기회가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언제 봐도 멋진 모습...
가을이 성큼 다가왔네요
정말 웅장하나 산입니다.
가을의 모습도 좋겠죠?
아직 안가본 곳입니다.
풍경이 정말 좋네요. 정말 한번 가봐야지 하는 곳인데 몇년째 그쪽으로 발걸음을 옮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눈으로나마 잘 봤습니다.
가 보실 기회가 잇으시길 바라겠습니다.ㅎ
즐거운 휴일 보내세요.^^
늘 가는 도선사만 가다보니, 북한산에 있는 다른 사찰은 가본 적이 없네요.
언젠가는 저도 북한산 정상에 오르는 날이 오겠죠.ㅋㅋㅋ
전 북한산 정상은 힘들지 싶습니다.ㅋ
엄청나게 걸으셨네요. 산행길이라 많이 힘드셨을 것 같아요.
다른 길로 내려오셨으니 그만큼 많은 걸 둘러보셨겠어요. ^^
비가 좀 와서 조금 힘들았습니다.
안 그랬으면 좋았을텐데 말입니다.
제가 가고 싶은 산행길이네요! 여긴 산이 없어서 너무 아름다운 한국 가을산 너무 그립습니다. 직원에게 팁 얻기 좋은데요?^^ 미역국 너무 맛있어 보인다며 남푠에게 저녁에 해먹자고 했네요ㅎㅎㅎ 그나저나 2만 4천보 대단하시네요~! 여행시 2만 보 이상 걸음 뒷날 후유증이 상당하던데 컨디션 잘 회복하셨길 바래보네요^^
미역국 해 드셨나요?
전날도 만 오천보 걸어 이틀 동안 4만보 걸었네요.
월요일은 하루 종일 다리가 뻐근했습니다.
주말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미역국에 넣을 쇠고기 사서 이제야 들어가는 중이네요ㅎㅎㅎ 얼른 해먹고 싶어요ㅋ 편안한 하루 되세요^^
북한산성을 시작해서, 북한사니국립공원 일대를 둘러보고 오셨네요.
상당히 먼길일텐데,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비만 안 왔더라면 좋을뻔 했습니다.
기억에 남는 산행길이었습니다.
당시의 기술력으로 저런 험난한 곳에 성을 쌓느라고 얼마나 고생들을 하셨을까요.@_@
...전쟁없는 평화가 계속되었으면 좋겠네요.
자기것만 지키고 살면 좋은데 욕심을 내 남의 것을 넘보니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