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촌리 마을 안으로 들어서니 낡은 목조 건물이 보인다
부분 부분 보수한 흔적이 보이기는 하나 오래된 건물임은 한눈에 봐도 알수 있었다
보물 1825호인 만취당이다
밖에서 설명문을 읽고 있자니 주민분께서 들어가서 보라 하신다
종손이 살고 있는 집을 돌아 들어가니 의연한 자태가 눈에 들어 온다
이리 저리 보고 있는데 좀 전의 주민분께서 다시; 들어 오셔 설명을 자청하시면서 건물의 내력을 상세히 알려 주신다
만취당은 퇴계 이황의 제자 김사원(金士元, 1539~1601)이 학문을 닦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건물로 이곳을 찾은 온계 이해, 서애 류성룡 등 많은 인사들의 시문이 남아 있으며, 현판은 석봉 한호의 친필이다. 건립연대는 만취당 중수기문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1582년(선조15)에 짓기 시작하여 1584년에 완공하였다고 적고 있다. 이후 1711년(숙종 37) 연목을 일부 교체하였고, 1727년(영조 3) 동쪽으로 2칸을 증축하였으며(復齋), 1764년(영조 40) 서쪽으로 1칸 온돌방을 증축(西小翼室)하여 현재와 같은 T자형 평면이 완성되었다.
만취당은 누각형 건물로 기둥은 배면을 제외한 3면은 루하주와 루상주로 구분되며 약한 흘림을 두어 원형으로 치목하였다. 창방의 치목은 모서리를 궁굴린 고식의 치목기법을 지니고 있으며 귀솟음이 완연하다. 기둥상부에는 주두를 얹고, 외부는 짧으면서 힘 있는 살미를 두었으며, 내부는 선각된 익공형(翼工刑) 보아지를 대량(대들보)방향으로 얹었다. 초창 이후 증축된 온돌방 부분은 창호 결구법이 맞댄이음으로 대청 부분과는 완연히 구별되며, 상부구조는 기존의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고 증축하여 당초의 가구법을 확인할 수 있다. 겹처마의 선자연은 치목수법이 정연하다.
만취당은 도리와 대량의 구조결구법 등 초창 당시의 건축수법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16세기 사대부가의 주거 및 선비문화 그리고 사회적 요구에 따른 건축적 변화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사가의 목조 건물로 꼽히며 경북 유형문화재에서 2014년 보물로
승격되었다
3년에 걸쳐 이 집을 지은 김사원은 평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지만 임진 왜란때는 의병을 일으켜 왜적들과 싸웠다
그리고 흉년이 들면 동네 주민들을 규휼했고 차용문서도 불태우는등 의로운 창고라 불리웠다
그래서 임진 왜란을 비롯한 전쟁..그리고 근대화 의병 전투및 ,6.25를 거쳐 오면서도 이 집만은 동네 사람들이
지켰다 한다
만취당 옆에는 김사원의 증조할아버지이며 류성룡의 외할아버지인 송은 김광수 선생이 심었다는 수령 500년된
향나무가 있다
종손이 살고 있는 집안으로 들어가 왼쪽으로 가면 된다
복제
이 건물과 T자형을 이루고 있다
만취당
한석봉의 글씨다
단청이 있어 물어 봤더니 옛날 집을 지을때 주위의 사찰에서 버려진것을 이용했다고 한다
남자들이 타던 가마도 건물을 짓는데 이용되었다
오래된 흔적을 말해 주는듯 하다
백일홍
구름과 오래된 집이 잘 조화를 이뤄 한폭의 멋진 그림을 만들어준다
'인상 깊은곳 > 고택,고건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경주여행 ) 독락당-보물 413호 이언적 선생 사랑채 그리고 귀후재 (98) | 2019.01.11 |
---|---|
의성 관덕리 3층 석탑 -보물 제188호 (81) | 2018.10.03 |
오래된 조선시대 목조건물 의성 사촌리 만취당-보물1825호 (98) | 2018.09.03 |
3년여만에 다시 찾은 대구 근대역사관 (100) | 2018.08.03 |
( 대구 근대로의 여행 ) 이상화 고택, 서상돈 고택 (104) | 2018.07.25 |
( 고령여행 ) 죽유종택,매림서원,고령 지산리 당간지주 (86) | 2018.04.0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한옥은 역시 아름다워요. 잘 보고 갑니다.^^
한옥의 우수성을 이제 많이 알아 주는듯 하더군요^^
건물의 크기가 가문의 영욕을 과시했던 시절입니다
양반들이 만든 세상 이 건물 하나로 짐작이 됩니다,
양반 집안의 건물입니다
덕을 실행한 양반이었습니다
우리나라 한옥의 아름다움과
고택이 웅장함을 더하여 보물로 지정 되었군요
이 또한 역사가 말해주는 현장으로 우리모두 잘 관리 하였으면 합니다.
사가 건물이 보물로 지정되기는 쉽지 않았을텐데 말입니다
잘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한옥 나중에 돈 많이 벌면 한옥으로 집을 지어 살고 싶네요 ㅎㅎ
꼭 그리 되실것입니다 ㅎ
한옥은 오래될수록 시간의 흐름을 담아 더욱 멋있어지는거 같아요ㅎ
그래서 보존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근래 한옥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아 지셨습니다
전쟁에도 피해가 없었던 이유가 다 있었네요.
역시 사람은 착하게 살아야하나 봅니다.ㅎㅎ
거기에 더해서 가진 사람이라면 당연히 베풀고
살아야 되겠습니다
와 옛시간이 살아숨쉬는 공간 같아요. 한석봉 글씨라니! 어쩐지 유명인 싸인을 본 기분입니다! 아하하^^; 고풍스런 곳 한번 가보고 싶어요. 고택 중 한곳 진짜로 아이들과 가보려고 벼르는 중인데.. 언제 갈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전 한석봉 글씨를 몇번 보았습니다
도산서원에 가도 있고
그리고 그의 글씨를 집자한곳도 여러곳에
있습니다
서울에 현대식 전통마을을 조성한곳이 잇더군요
거기라도 먼저 다녀 오심이..
날씨가 화창하니 구름들도 잘보이고 좋네요^^
우리나라 한옥은 언제 보아도 멋집니다
구름이 참 예뻤던 날이었습니다
한옥 우리의 집입니다 ㅎ
너무나 아름다운 고옥입니다.
우리의 전통 가옥은 언제 보아도 좋습니다^^
건물 곳곳 보여주셔서, 제가 직접 다녀온 기분이 들어요.
늘 좋은 곳 구경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종가집분이 상세히 설명해 주셔서 더욱 뜻깊은
방문이 되었습니다^^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느껴집니다.
잘 보고 갑니다.
잘 보존되어 내려 온듯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아아.... 라스트 사진 3컷은 거의 예술 수준이네요....
누구나 저것보다 더 잘 찍으실수 있습니다^^
정말 잘 보존되어있네요
보물로 지정되어있을만합니다!
보수한곳이 여러곳 있지만 앞으로도 잘
보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고택의 아름다움은 보면 볼 수록 그 매력에 깊이 빠지게 되네요.
잘 보았습니다~
맞습니다
볼수록 그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과학의 원리가 잘 녹아 잇어 감탄하게 됩니다
목조건물이 아름답네요..
잘 생긴 건물입니다
맑은 하늘과 기와 지붕의 고택이 조화되어 더욱 운치로운 풍경을 이뤄내네요.
덕분에 한석봉 글씨 현판도 잘 구경해요.
정말 눈에 오래 담고 싶을 정도의 멋진
풍경이었습니다
와 푸른 하늘이 정말 멋지네요.
전통적인 집들이랑 정말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날씨가 참 좋은 날이었습니다
이런날은 집에 잇으면 손해입니다 ㅎ
그 옛날의 가마와
절을 짓고 남은 나무들을
활용해서 만들었다니
신기하네요.
정말 역사를 품고있는
목조건물이네요. 멋집니다!!
집에 단청이 된 목재가 잇어 엄청 궁금했는데
마침 종손분이 설명을 해 주셔서 알았습니다
신기하더군요
다른 지붕의 단청과 가마를 활용해서 지었다니 신기하네요.
기와 지붕과 파란 하늘은 정말 환상적이게 잘 어울려요ㅎㅎ
직접 보시면 정말 신기하실것입니다 ㅎ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네요.
집을 만든 재료들도 흥미롭고요.
무엇보다 '덕'이 크게 쌓이니, 어려운 와중에도 지켜내졌군요.
정말 좋은 일을 많이 하면 이렇게 혜택을 받는가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