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空空)의 시선

통도사 3

양산 통도사 무풍한송로 그리고 홍매화 (3월2일)

버스 여행 마지막 일정인 양산 통도사를 찾았다 통도사는 2022년 초 봄에 찾았으니 3년 만이다지난번은 차를 가지고 가서 일주문 주차장까지 갔는데 이번에는 사찰 밖 주차장에서 걸어서 들어갔다 산문에서 일주문까지는 소나무 고송들이 늘어서 있고 작년 10월 10억 원을 들여 깔끔하게 정비를 했다 한다 일주문까지 1.2Km의 흙길을 다시 포장해 걷기 좋은 길을 만들었다 이 길은 조계종 포교원이 '지혜의 숲길' 프로그램으로 2024년 네번쩨 순례길로 "양산 통도사 무풍한송로"로 이름 붙여졌다 무풍한송로(舞風寒松路)는 ‘바람이 춤추고 찬솔이 맞이하는, 부처님 만나러 가는 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산문 앞 주차장에 내렸다무풍한송로를 걸으실 분들은 이 곳 주차장에 주차를 하면 된다무풍한송로 중간 중간 바위마다 ..

통도사 꼭 봐야 할 곳-장경각 그리고 성파 스님의 수중 옻칠 작품

양산 통도사 가면 통도사 경내를 보고 이 곳은 꼭 보고 가야 하는 곳이다 서운암 바로 윗쪽 '장경각'이다 장경각에는 흙을 구운 도자기 판에 대장경을 새긴 '16만 대장경'이 보관돼 있다. 성파 스님 주도로 1990년부터 작업해 2011년 완성한 것이다 팔만대장경은 목판 양면에 불경을 새긴 것이고 16만 대장경은 도자기 판 한 면에 새긴 차이다 서운암에서 장경각 오르는 길 통도사는 사진 촬영이 안 되는 곳이 많았는데 여긴 촬영 금지가 없어 사진을 찍었다 나오는 길은 완전 미로다 그리고 장경각 앞 물 웅덩이의 작품을 보아야 한다 통도사 방장스님이자 , 옻칠 민화 대가인 성파스님이 3년간 걸쳐 만든 이 두 작품은 장경각 당의 물 깊이 50cm로 물웅덩이를 파 수조를 만들어 각각 담겼다. 2021년 4월에 공개..

국보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양산 통도사에는 많은 문화재가 있다 그중에 국보가 1점이 있다 ☞ 국보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梁山 通度寺 大雄殿 및 金剛戒壇)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일곽 지정(등록)일 1997.01.01 소 재 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지산리) 시 대 조선 인조 23년(1646) 통도사는 우리 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손꼽히는 큰 절로, 신라 선덕여왕 15년(646)에 자장율사가 세웠다. 대웅전은 원래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을 가리키지만, 이곳 통도사의 대웅전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고 건물 뒷면에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설치하여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다. 그 때문에 통도사라는 절 이름도 금강계단을 통하여 도를 얻는다는 의미와 진리를 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