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공공(空空)의 시선

인상 깊은곳

삼국유사가 집필된곳-인각사

空空(공공) 2015. 1. 5. 08:00
반응형

 

 

 

 

 

 

 

 

 

 

 

 

삼국 유사.그러면 나에게도 기억이 많은 책이다

 

초등(국민)학교때 자유교양 경시대회란게 있었다

주어진 책을 읽고 그 책에 대해 독후감을 발표하는 대회였던걸로 생각하는데

그 책을 읽고 외우느라 저녁 어둑해질때까지 교실에  남아 책을 읽었던 기억이 난다

그 때 그 책중에 삼국 유사도 있었었다

 

지금은 삼국 유사에 나와 있는 내용을 다 기억하진 못하지만 그 내용을 다시 보면

생소하지만은 않다

 

화본역을 갔다가 집으로 돌아가는길에 일연스님이 삼국 유사를 집필했다는 인각사를 들렀다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643년(선덕여왕 12)에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 절의 입구에 깎아지른 듯한 바위가 있는데, 속전(俗傳)에 기린이 뿔을 이 바위에 얹었다고 하여 절 이름을 인각사라 하였다고 한다.

그 뒤 1307년(충렬왕 33)에 일연(一然 : 普覺國師)이 중창하고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당시 이 절은 크고 높은 본당을 중심으로 하여 그 앞에 탑, 좌측에는 회랑, 우측에는 이선당(以善堂) 등이 있었고, 본당 뒤에 무무당(無無堂)이 있었다고 한다. 또한, 일연은 총림법회(叢林法會) 등 대규모의 불교행사를 개최하였다. 시대는 미상이나 조정의 명으로 김용검(金龍劍)이 절을 크게 중건하고 밭 100여 경(頃)을 헌납하였다. 조선 중기까지 총림법회를 자주 열고, 승속(僧俗)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고 하나, 그 뒤의 역사는 전하지 않는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법당과 2동의 요사채 뿐이다.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428호로 지정된 인각사보각국사탑 및 비(麟角寺普覺國師塔─碑)가 있다. 이 탑비는 1153년(의종 7)에서 1155년 사이에 사승(寺僧) 죽허(竹虛)가 왕희지(王羲之)의 글씨를 모아서 세웠다고 한다. 그러나 임진왜란의 병화로 글자의 훼손이 심하여 알아보기 어렵다. 그 밖에도 법당 앞에는 삼층석탑이 있고, 정조탑 앞에는 높이 1.5m의 석불이 있으며, 절 앞 길가에는 만월당(滿月堂)과 청진당(淸眞堂)의 석종형 부도가 있다.

                                                ( 한국 민족 문화 대 백과 사전에서)

 

 

 

인각사 극락전 그리고 삼층석탑 9경북문화재자료 427호)

 

인각사는 사적 제 374호로 지정된 문화재 보호지역으로써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군위군 화북리(軍威郡 華北理) 612, 613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교통상으로는 영천-안동간 28번 국도상에 있는 화수 삼거리에서 동으로 위천 상류를 따라 나 있는 908번 지방도를 따라 약 2.5km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인각사의 주변지세는 남쪽은 속칭 절뒷산(해발 364m)으로 불리우는 화산(해발 760m)의 지맥이 뻗어있고 북쪽은 인각(麟角)의 전설을 가지고 있는 학소대(鶴巢臺)와 옥녀봉(해발 564m)이 병풍처럼 높은 단애로서 가로막고 있으며, 그 앞으로 위천(渭川)이 동서로 좁았다 넓었다 하면서 서류(西流)하고 있다. 그리고 동과 서는 소위 인각(麟角)의 뿔로서 알려진 화산(華山)의 지맥(支脈)이 인각사의 동과 서로 흘러 내려와 소위 풍수상의 좌청룡 우백호를 이루고 있다. 즉 동쪽은 조산(造山)이라고 불리우는 산자락이 흘러 내려와 있고 서쪽은 현재는 논으로 경작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과거 1973년에 정리되었던 지적도에 서쪽의 논들이 산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인각사의 과거 지형은 동과 서가 화산의 지맥이 흘러 내려와 있는 오목한 곳에 자리를 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인각의 유래는 읍지(邑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에 의하면, 기린이 인각사 북쪽에 있는 높은 절벽에 뿔이 걸렸다 해서 인각이라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또 일설에는 화산의 형태가 기린의 형상을 닮았고 인각사의 위치가 기린의 불에 해당되는 지점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이 기린의 뿔이 인각사의 동-서로 흘러내린 산자락으로 보아도 무방한 것으로 판단된다.

                                                                      ( 인각사 홈 페이지 www.ingaksa.org 인용)

 

 

 

 

학소대

 

 

 

훼손된 보각국사 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