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까운 경북대학교의 야외박물관을 벼르고 별러 찾았다
일요일과 2.4주 토요일은 휴관이고 개방 시간이 10시~17시인 관계로 볼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았었는데 개관하는 토요일 별러 찾았다
박물관은 기획전시실을 비롯 7개의 전시실이 있고 야외 전시장이 있다
월파원이라 불리우는 야외 전시장을 먼저 찾았다
( 월파원 月坡園 )
월파란 원래 '달의 계수나무 언덕'이란 뜻으로 이 야외 박물관의 모습이 그를 연상시킨다고 해서
1965년 조성될 당시에 총장 (계철순)의 아호를 따 월파원이라 이름 붙였다
보물로 지정된 고려시대 석조부도 2점과 인흥사지 3층 석탑을 비롯하여 대구.경북 각 지역에서
수집된 불상,석탑,비석,문인석,주춧돌등100여 점의 각종 석조문화재들을 언덕에 조화롭게
배치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답고 다양하게 꾸며진 야외박물관중 하나로 꼽힌다
또 월파원의 동쪽에 해당하는 박물관 건물 북편에는 대구 남구 이천동및 달서구 상인동의
청동기시대 고인돌군,경북 칠곡군 약목면의 삼국시대 고분(약목 대옹총)등의 무덤 유적을 발굴한
다음 이전해서 복원해 놓았다 ( 월파원 소개 안내판에서 인용)
대구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大邱 山格洞 蓮花 雲龍裝飾 僧塔) |
고려시대 |
높이 274.0cm |
보물 제135호로 신라 이래 팔각의 원모양의 기본 양식을 따르면서 보다 크고 화려하게 표현한 고려시대의 특징이 잘 나타난 걸작중의 하나로 꼽힌다. 중간부분에 양각된 용과 구름의 모습이 기운차 보이고, 상층부분에 비해 아랫부분이 넓어 안정된 느낌을 준다. |
대구 산격동 사자 주악장식 승탑(大邱 山格洞 獅子 奏樂裝飾 僧塔) |
고려시대 |
보물 제 258호 팔각형태의 고려시대 승탑으로 악기를 연주하는 악공, 극락정토에서 설법을 전하는 새인 가릉빈가, 사자, 연꽃이 조화롭게 새겨져 있는 작품이다. |
삼층석탑(三層石塔) |
고려시대 |
높이 228.0cm |
고려시대의 것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소박한 형태이다. 화강암으로 만들었는데 지대석 위에 상하 2층의 기단과 3층의 탑신으로 구성된다. 특히 하층기단에는 코끼리 눈의 형상을 본떠 만든 장식문양이 새겨져 있고, 그 중앙에 꽃무늬를 배치하였다. |
삼층석탑(三層石塔) |
통일신라시대 |
높이 375.0cm |
고려시대 석탑으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지대석 위에 기단부 없이 3층의 탑신부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추녀 끝을 가볍게 올린 모습이 경쾌하다 |
문화재는 보려는 사람 에게만 보이는것 같다
보려고 하면 보인다
728x90
'인상 깊은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대구 가볼만한곳 ) 꽃과 나비가 함께 하는 봉무 공원 (28) | 2015.07.24 |
---|---|
( 대구 가볼만한곳 ) 대구 동북구 주민 휴식처 봉무레포츠 공원 (30) | 2015.07.23 |
향나루 자연 오리 농원 (38) | 2015.07.20 |
서거정의 침산만조 (20) | 2015.07.18 |
( 경북 영천 ) 포은의 향기를 느낄수 있는 임고서원 (34) | 201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