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향촌동에는 전국 유일의 수제화 골목이 있다
서울 성수동에도 있긴 하지만 거기와는 좀 다르다
대구는 내 발을 재서 만들어주는 그야말로 나만의 구두를 만들어준다
1960년대.70년대 건너편 화전동 자유시장 근처에서 수제화를 만들던 기능공들이 이곳 향촌동에 가게를
내면서 폭 5M.길이 300여M의 좁은 도로에 한때는130여개나 되는 가게들이 있어 성황을 이루었었다
그러나 기성화및 중국 저가에 밀려 명맥만 유지하다가
2014년 도시활력증진지역개발사업에 참여해 40억의 예산을 얻어내고 지자체 지원으로 인근의 향촌문학관,
경상감영공원등을 연계한 골목투어코스에 포함됨으로 이제는 관광객들이 찾는 활기찬것으로 탈바꿈을 했다
2014년의 지원 사업이 3년 사업으로 종료되면서 다시 침체하는듯 보여 다소 아쉽다
매번 지나다니기만 하다가 인근에 온 김에 들러 보았다
수제화골목은 대구역얖 중앙로 우측편에 있다.신발조형물이 있다
단체 탐방객들이 가끔 보인다
이골목엔 구두수선,피혁 등 다양하게 있다
수제화골목 약 300M
문을 닫은곳도 보인다
이곳은 우종필씨(53) 등 30~40년 경력의 수제화 장인들이 의기투합해 만든곳이다
5개 수제화 업체들이 지난해 9월 마을기업을 만들어 안전행정부 마을기업에 등록하고 승인을 받았다. 기업 이름은
(주)편아지오. ‘무엇보다 발이 편해야 한다’는 뜻이다.
안행부 지원금 4600만원과 십시일반으로 모은 600만원으로 공동매장을 마련했다한다.
탐방객만 찾는곳이 아닌 내 발에 맞는 편안한 신발을 맞추기 위해 많이 찾는곳으로 바뀌었으면 좋겠다
'인상 깊은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기념물 405호 의성 사촌리 가로숲, 후산정사 (92) | 2018.08.31 |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이전 구마고속도로 ) 현풍휴게소 500년 느티나무공원 (97) | 2018.08.24 |
( 대구 근대로의 여행) 향촌동 수제화 골목 (110) | 2018.08.17 |
순종황제남순행로,국채보상운동 발상지 광문사터 (88) | 2018.08.15 |
(경남 거창) 금원산 자연휴양림-여름 휴가지,피서지로 좋은곳 (86) | 2018.08.08 |
(서울 여행 )DDP ( 동대문디자인 플라자 ),흥인지문 (124) | 2018.08.0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수제화 골목은 처음 들어봅니다.
어릴적 아버지 따라 시장에 가면 신발 가게들이 죽~ 늘어선 곳들이 연상이 됩니다.
이쁜 수제화들 또한 잘 보고 갑니다.^^
여긴 관련 상점들도 있고 길 좌우로
구두 상점이 늘어서 있습니다 ㅎ
와 신발 사진이 굉장히 느낌 있어요!
영화 속 한 장면 같은?ㅎㅎ
이제 곧 주말이네요!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예쁜 신발들이 많았습니다 ㅎ
주말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와 정말 대단하네요 ㅋ
잘보고 갑니다
남아 있어야 할 거리입니다 ㅎ
수제화는 신어본적이 없는데..... 구경이라도 가서 만져보고 싶네요 ㅎㅎ
기성화보다 낫고 화려한것도 있습니다 ㅎ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기분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이런 곳도 있군요. 수제화는 수제화 나름의 매력이 있으니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 되었으면 합니다
바램이 아니고 실제적으로 그리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문을 닫은곳도 보여 좀 안타깝습니다
언젠가 TV에서 본 것 같아요.
요새 수제화 신는 분들이 많이 줄었지요.
어찌보면 내 발에 딱 맞는 신발을 장인이 만들어주는 개념인데...
왜 이런 사업이 죽어가는지 조금 안타깝기도 하네요.
한편으론 잘만하면 다시 활성화될 희망도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
일단 많이 알려져 사람들이 많이 찾으셨으면 좋겠네요
방송에서 맛집만 내 보낼게 아니고 이런곳도 가끔 내 보냈으면 합니다
수제화 전문 골목이 다 있군요.
편아지오 이름 잘 지었네요.
에전보다는 못하지만 그래도 아직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ㅎ
예전에는 구두가 조금 비싼 편이었는데, 요즘에는 싼 구두가 많이 나와서 수화제를 전문으로 하는 분들도 제법 타격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침체되는게 그런 이유도 있을듯 합니다
수제화 골목이 따로 있었다는게 매우 놀라운 사실이네요.
슬프지만, 가성비가 우선시 되는 세상이기에
인건비가 많이 드는 수제화라면 결국은 브랜드 고급화를 통해서
승부를 하지 않으면, 필연적으로 사라질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기존 기성화가 잘 맞지 않으신분들이
많이 이용하십니다
그리고 개성있는 신발을 원하시는분들도 찾아오시고요^^
현재 수제화의 시장은 일종의 틈새시장이 되겠군요.
수요가 있는 틈새시장에서 주류 시장으로 뻗어 가기를 기대해 봅니다.
대구경북인은 보수라는 가면을 쓴 몰염치 족이다. 박근혜 집권 1년차 지방교부금 증가율이 타지역 평균의 40배 정도였다. 양심이 있는 정상적 사람이라면. 그리 올려 준다고 해도 사양했어야 한다. 그 뿐이냐. 정부예산 쓰는 사업에는 모두 "우리가 남이가" 독소들이 오염되있다. 이러한 악행을 지적하면 한다는 소리가 "그럴려고 정권 잡았다"이다. 정권 떨어졌으니 그 지역에는 중앙정부 지원금을 백년간 주어서는 않된다. 그것이 정의이다. 그 버르장머리를 고쳐 놓치않으면 나라가 망할 거다.
우아 예쁜 신발이 정말 많네요!!
남자친구가 생기면
같이 여행가서 한켤레 선물해주면
너무 좋을것같아요 ㅎㅎㅎ
언제 생길진 모르는 남자친구....지만 :)
구두를 선물 할 남자친구가 빨리 생기시갈
바라겠습니다 ㅎ
가게 하나하나 내공이 느껴지는 거리네요 ㅎㅎ
장인들이 점점 사라지는 요즘입니다
예쁜 구두들이 정말 많군요?
향촌동 수제화 골목 을 덕분에 알고 갑니다.
개성있고 멋진 구두들이 많습니다 ㅎ
대구에 수제화 골목이 있다니, 옛 정취도 느낄 수 있어 좋을 것 같아요~ 특별한 정보 감사합니다 :)
전국적인 명소가 되면 좋은데 말입니다 ㅎ
수제화 산업이 다시 활성화되었으면 좋겠네요~ 서울역 근처의 염천교 구두 공장들은 서울로7017때문에 상황이 더 안좋아졌다고 들어서... 시대의 흐름상 어쩔 수 없겠지만 오래된 가게들이 문을 닫으면 안타까울때가 많아요...
활성화 하려면 제반 고려 되어야 할것들이 많지 않나 싶습니다
우선 중앙 정부에서 최소한의 지원 대책이 잇엇으면 합니다
이전에 숭례문 근처에서 신발 가게 잔뜩 있는 건 보았는데...손님이 하나도 없어서 안타까웠거든요.
대구 수제화 골목도 잘 활성화되었으면 좋겠어요 :)
남대문시장 주변이 염리동과 연결 되어 좀 잇었던것 같습니다
앞으로 활성화 되면 좋은데 말입니다
어렸을땐 수제화 가게가 많았었는데, 점점 사라지는 모습을 보면 뭔가 아쉬움을 지울수가 없네요. 마치 오랜 친구가 사라지는 것처럼..
앞으로 수제화를 찾으시는분들이 조금씩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ㅎ
침체되었다고는 하나 그래도 운영중인 매장이 다행히도 많아보이는걸요. 가격만 부담스럽지 않다면 시도해보고 싶네요. 기본 정장 구두는 언제나 필요하니까요.
기성화 보다는 조금 가격이 나가는듯 하지만 오히려
디자인은 훨씬 좋아 보였습니다
기존의 기성화가 불편하신분들이 많이 찾으십니다^^
향촌동 수제화 거리에 대한 포스팅이 너무 마음에 듭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도의 글을 1년여가 지난 지금 방문합니다 ^^ 이 포스팅을 제 포스팅에 링크 시켜도 될까요?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