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을 가면 한번은 반드시 들러 봐야 할곳이다.
바로 삼도수군통제영이다
▶ 삼도수군 통제영 : 사적 제402호
통제영이란 충청·전라·경상도의 삼도수군을 통할하는 통제사가 있는 본진을 말하는 것으로, 삼도수군통제영을 줄여서 표현한 것이다. 선조 26년(1593)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의 한산진영이 최초의 통제영이다.
지금의 통영시 관내에 통제영을 짓기 시작한 것은 선조 36년(1603) 때의 일이다. 제6대 이경준 통제사가 이곳에 터를 닦고 2년 뒤인 선조 38년(1605)에 세병관 (보물 제293호에서 국보 305호로 승격 지정), 백화당, 정해정 등을 세웠다. 이곳은 고종 32년(1895) 각 도의 병영과 수영이 없어질 때까지 292년간 그대로 유지하다가 일제시대 민족정기 말살정책에 의해 세병관을 제외한 많은 건물이 사라졌다.당시 건물 중 남아있는 것은 세병관 뿐이나, 최근 관공서와 주택이 있던 통제영터를 일부 정비 복원하였다.
망일루
광해군 3년 제 10대 우치적 통제사가 세웠으며 영조 45년 제128대 이국현 통제사가 화재로 소실된것을 다시 지었다
일명 세병문이라고도 하며 통행 금지와 해제를 알리는 커다란 종이 있어 종루라고도 하였다.
소실되었던것을 2000년에 다시 중건하였다.
좌청
군관과 사병이 대기하던 건물로 대변좌청이라고도 하며 제54대 신여철 통제사가 1689년에 우청과 좌청으로
분청했다고 한다
산성청
통영성을 지키는 산성중군등이 근무했던 곳으로 숙종 44년 제 83대 오중주 통제사때 건립하였던것으로 그후
소실되었던것을 발굴, 유구와 문헌에 의하여 최근에 중건하였다.
백화당
선조 36년 제6대 이경준 통제사가 건립하였다, 중국 사신등의 손님을 맞이하는 통제사의 접견실이자 비장청인데
비장은 지방 장관및 중국 사신을 수행하던 무관으로 민정의 염탐과 같은 업무도 맡았으며 지방 장관이 임의로
임명하였다
잉번청
숙종 44년 제 66대 이세선 통제사가 건립하였으며 통제영 공방의 건물이나 물건등을 지키는 사람이 근무하던곳이다
느티나무
둘레는 5M이며 수령은 400년 이상 되는걸로 추정을 한다.통제영 창건 당시 심어진걸로 생각이 된다
기삽석통
세병관 앞뜰에 영기와 장군기를 세우기 위해 깃대를 고정하는 커다란 2개의 돌기둥으로 정조 10년 제 142대 류진항
통제사가 세웠다. 원래는 세병관 좌우 앞뜰 2기가 있었으나 현재는 서쪽 1기만 남아 있다
통영 앞 바다가 보인다
통제사비군
통제사비군은 역대 통제사들의 공덕을 기리는 비석이 시내 일원에 흩어져 있던것을 현 위치에 모아서
동향으로 58기를 나란히 4줄로 세워 놓은것을 말한다
이 통제사비군운 통제사가 부임하여 임기를 마치고 퇴임한후에 이 지방 군,관.민이 세운 일종의 공덕비인데
표제도숭덕비.추사비.거사비,사적비,불망비,타루비,,유애비,선정비등으로 다양하다.
내아군
통제사가 업무를 보던 영역이다.통제영 영역에서 중심에 자리하며 세병관 동쪽에 위치한다.
내냐군 내에는 운주당과 이순신 장군의 영당이자 관사인 경무당이 자리하고 그 우측으로는 살림채인 내아가
자리한다
중아의 관아와 달리 지방의 관아에서는 관리의 식구들이 살림하는 내아가 있어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이 공존하는
특징이 있는곳이다.
병고
선조 37년 제 6대 이경준 통제사때 통제영 설치와 같이 세워졌다.
통제영 병무를 관장하던 곳으로 현재 대포,창,검등 무기루를 전시하고 있다
운주당
삼도수군 통제영은 비교적 규모가 크다.
넓은곳이지만 꼼꼼이 둘러 보면 좋을것이다
☞ 8월 4일 아내,친지
'인상 깊은곳 > 고택,고건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평문씨세거지 문익점 동상,목화밭,매화 그리고 인흥원-3월14일 (171) | 2020.03.18 |
---|---|
이상화 생가 한옥까페 라일락뜨락1956 (114) | 2019.10.16 |
( 통영 여행 ) 삼도수군통제영 (91) | 2019.09.27 |
( 통영 여행 ) 착량묘-수군과 지방민이 세운 이순신장군 사당 (52) | 2019.09.13 |
( 밀양여행 ) 밀양 관아지-조선시대 밀양지방 통치의 중심지 (94) | 2019.08.29 |
( 밀양 여행) 영남루,천진궁-밀양을 가면 한번 찾아야 할곳 (110) | 2019.08.21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저도 이곳이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장군이 지휘하던 통제영인줄 알았는데
한산이 최초의 통제영이었네요..
소실된 누각들을 복원하였다니 다행이구요~
앞으로이곳이 더 많이 알려졌으면 좋겠어요..^^
통영을 찾으시는분들은 한번씩 보셨으면 합니다.
이곳을 보고 근처에 있는 충렬사를 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일본놈들은 정말 할 수 있는 온갖 안 좋은 짓은 다하고 간거 같네요. ㅡㅡ;
그래도 이렇게나마 복원 유지되어 있다니 통영을 간다면 꼭 들러봐야겠습니다.
앞 바다가 안 보이게 언덕도 만들고 건물을
올렸다 합니다.
이곳에 오르면 그걸 느낄수 있습니다.
서피랑공원에서 내려다 보면 한 눈에 들어오잖아요
그래서 그 규모가 꽤 크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저도 직접 들어가서 본건 꽤 오래 전이네요.
동피랑에서도 보이고 서피랑은 더 잘 보이더군요
12공방은 따로 소개할 예정입니다.
천천히 역사를 음미하며 다녀와야 할 곳 같네요.ㅎㅎ
통영 가면 꼭 들려보겠습니다.ㅎㅎ
역사의 장소입니다^^
곳곳에서 기품이 느껴집니다. 조용히 앉아서 내려다 보노라면 이순신의 호기를 느껴볼 수 있을까요 ㅎ
이순신 장군은 한산도에 가시면 더 잘 느끼실수 있지 싶습니다..ㅎ
삼도수군 통제영...
옛날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것 같네요.
잘 보고 갑니다.
역사적인 장소입니다.
교훈이 되는곳이기도 합니다.
좋은 글 . 사진 잘 봤습니다 ~^^
오후 시간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삼도수군 통제영이 잘 복원되어 관리되고 있네요.
편안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복원을 잘 해 놓은것 같습니다.^^
깔끔하게 너무 잘 관리되고 있네요.
통영은 몇번 가봤는데 주로 회 먹었던 기억밖에 나지 않습니다.
다음에 통영가게 되면 저도 한번 방문해보고 싶어집니다.
회도 먹고 문화재 탐방도 하면 더할 나위 없죠^^
와 사진을 보니 영화 명량이 생각이 나요.
통영에서 정말 꼭 가봐야 할 곳 같아요.
통영가면 한번 가 보만한곳입니다.
역사를 생각해서 꼭 다녀와야 할 곳 같아요~요즘 날씨가 좋아서 여행가고 싶었는데 통영으로 가 봐야 할거 같아요!
여행하기 좋은 계절이빈다.
한번 다녀 오시면 좋으실것입니다.
정말 이순신장군을 모함했던 그당시
정치꾼들 당파싸움에 몰입했던 그들이
밉네요. 이순신장군님 그릴수있는
문화유산 잘 만들어진거같네요
요즘도 다르지 않습니다 ㅡ.ㅡ;
상세한소개 잘보고 갑니다
휴일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이순신 장군이 나올것 같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좋은 주말보내세요~
영원히 살아 계십니다.
통영은 몇번을 다녀온 곳이지만,
포스팅을 보니 다시 또 들려보고 싶어집니다.
삼도수군 통제영 꼼꼼하게 올려주셔서
제가 다녀온듯 합니다.
수고하셨어요.
벌써 주말이되었네요.
건강하셔요.^^
통영 여행을 다시 하고 싶어집니다.
편안한 휴일 보내시기 바랍니다.
삼도 수군 통제사였던 이순신 장군을 느낄 수 있는 곳이군요,
가서 걷는 것만으로도 많은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통영이 가깝다면 이번 주말에 다녀오고 싶네요...
여기서도 한산도에서도 장군위 흔적을 느낄수 있습니다.
통영 여행 한번 하시면 좋죠..
안녕하세요 글 잘 보고 공감 누르고 갑니다~
편안한 휴일 보내시기 바랍니다.
삼도 수군 통제사가 생각보다 크구나 생각하면서 보고 있었는데
마지막에 남기셨군요 ㅎㅎ
덕분에 통영 가기 멀어서 힘든데 잘 봤어요 ㅎㅎ
기회 되시면 한번 가 보시기 바랍니다.
조만산 통영 가면 꼭 가봐야겠어요 ㅋㅋㅋ
통영 여행 한번 해 보시기 바랍니다,,ㅎ
포스팅 잘 보았습니다.♡♡♡
여유로운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