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승대와 수승대 문화재들을
둘러 보고 나서도 예식 시간까지는
여유가 있었다
돌아가는길의 문화재를 검색했다
( 다 아시겠지만 차량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하면 현 위치로부터 가까운
문화재를 쉽게 찾을수가 있다..난 종종
이용하는편이다 )
수승대 가까운곳에 동계 종택이 있었고 바로 근처에 반구헌이라는곳이 있어 찾아 나섰다
조선 중기의 문신 정온(1569∼1641)이 태어난 집으로, 후손들이 순조 20년(1820)에 다시 짓고 정온의 신위를 사당에 모셔 오늘에 이르고 있다.
솟을대문의 대문간채를 들어서면 'ㄱ'자형의 사랑채가 있고, 사랑채 안쪽으로 '一'자형의 안채가 자리하였다. 안채의 오른쪽에는 뜰아래채가, 왼쪽에는 곳간채가 있다. 안채의 뒷쪽에 따로 담장을 두르고 3문을 설치한 후 사당을 세웠다.
사랑채는 꺾인 부분을 누마루로 꾸미고 눈썹지붕을 설치한 점이 특이하다. 안채와 사랑채는 북부지방 가옥의 특징인 겹집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기단은 낮고 툇마루를 높게 설치한 남부지방 고유의 특징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집의 학술적 가치를 찾을 수 있으며, 조선 후기 양반주택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동걔 종택에서 후손들이 보관해 오던 유물들은 나중 거창박물관에서 확인할수가 있었다
동계 정온 선생은 신동아에 연재된 조용헌 교수의 글을 옮겨 적는다
이 집안의 초계 정씨들은 일찍부터 과거급제를 한 기록이 있다. 고려시대 과거 합격자 101명의 명단이 실려 있는 ‘정사방목(丁巳榜目)’이 고택에서 소장하던 고문서에서 발견된 것이다. 고려말 우왕 3년(1377)에 치른 국자감시에서 장원급제한 정전(鄭悛)에게 당시 예부(禮部)에서 수여한 이 원본은 합격 동기생 101명의 이름을 전원 수록하고 있어 국보급 자료로 평가받는다. |
동계 종택을 찾아가는데 이름 없는 오래된 누각이 있었다
문이 잠겨 있고 사람의 손길이 한동안 닿지 않은것 같았다
동계 종택
지금도 후손이 살고 계신다
열려 있는곳으로 들어가니 살고 계시는분이 말씀하시기를 안채는생활하는 공간이니 들어 가지 말고
사진도 자제해 달라신다
대신 바깥 사랑채는 얼마든지 보고 사진도 찍고 가라 하신다
민박도 하긴 하는데 민박 요금이 좀 비싸다고 말씀을 하신다
기단이 낮고 툇마루가 높다
툇마루가 높아 신발 신을땐 줄이 필수적이지 싶디
바로 옆에는 반구헌이라고 있다
반구헌이란 이름은 스스로 자신을 뒤돌아보고 반성한다는 의미인 "反求於諸心"에서 유래한다.
반구헌은 현재 대문채와 사랑채만 남아 있는데 사랑채에 〔崇禎丁丑後二百三十四年〕이라는 상량문이 남아 있어 현재의 건물은 1870년대에 건립 또는 중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반구헌이라 불리우는 사랑채는 팔작기와지붕에 정면5칸, 측면5칸 규모로 이루어진 비교적 큰 규모의 건물이다. 이 건물의 가장 큰 특징은 대청이 중앙에 있지 않고 규모가 1칸인 반면에 방이 3칸이라는 점이다. 또한 측면 1칸에 난간을 두룬 누마루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건물 후면 중앙에 아궁이를 설치하여 방 2개를 한곳에서 난방하도록 평면을 구성하였다. 구조는 민도리집으로 단순 소박하지만 전체적으로 사대부가의 품격을 풍기는 중요한 건축물이다.
얼마전인조 시대의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영화 "남한산성"이 개봉되었는데 정온 선생은 그 시대를
살아가면서 치욕을 못 견뎌 할복 자살을 기도한 충신이기도 하였다
새삼 선생의 정신이 고귀해 진다
'인상 깊은곳 > 고택,고건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영천 여행 ) 자양서당,동린각,정용준씨 가옥,환구서원,선정사,환구 세덕사 (77) | 2017.12.14 |
---|---|
( 대구 가볼만한곳 ) 동구 둔산동 경주최씨종가 옻골마을,옛 담장 (83) | 2017.11.22 |
( 거창 여행 ) 동계 종택,반구헌 (78) | 2017.11.10 |
도심속 문화재 휴식 공간- 대구 경상감영공원 (36) | 2017.11.04 |
( 거창 여행 ) 요수정, 함양재,원각사 (56) | 2017.10.13 |
( 경주 여행 ) 경주 교촌 마을 그리고 최부자집 (61) | 2017.09.13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거창여행을 두번이나 갔지만 고택은 한번도 들르지 못했습니다.
동계종택이 정말 오래된 곳이군요.
고택이 관리가 잘되고있는듯 하네요. ^^
거창이 규모에 비해 문화재나 볼것들이
좀 있는것 같더군요
박물관도 있고 말입니다 ㅎ
역시 새로운 곳을 발견하는 건 즐거운 일이에요
제가 주로 그런편이긴 합니다 ㅎ
눈이 정말 많이 왔던 지난 겨울
한옥에서 1박을 한 적이 있었어요.
눈 내리던 그 밤 풍경, 그리고 이른 아침의 모습이 잊혀지지 않네요.
정말 좋았거든요~^^
오 그러셨군요
전 가족과 아마 한옥 체험을 하게 되면 전주 한옥마을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ㅎ
예전 그대로의 한옥을 볼 수 있내요.^^
보존이 잘 되어 있는 편이었습니다
동계 종택에는 예전 그 모습대로 후손이 살고 계시는 군요.
네 아직 종손이 그 댁에서 주거를 하시더군요^^
네비게이션으로 문화재를 찾아볼수있네요^^
옛조상들의 가옥이 정겹습니다``
저는 아주 잘 활용하고 있는 편입니다
와우 고옥의 아름다움을 느낍니다
우리가 가진 아름다움입니다^^
남쪽은 아직 벼 수확을 안했네요.
우리동네는 요즘 완전 겨울풍경입니다. ㅠㅠ
여기 다녀 온지 좀 되었습니다 ㅎ
역사를 다시 한번 되돌아 보게 됩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우리나라 어디를 가도 이런곳이 남아
있어 참 좋습니다^^
아 역사가 살아있는 곳을 다녀오셨네요! 근데...죄송한데 중간에 야옹선생님에서 빵 터졌습니다ㅋㅋㅋㅋ 그때는 고양이가 야옹하고 울지 않았던 걸까요? ^^;
ㅎㅎ
생각해 보니 그럴만도 하네요 왜 야옹이라 자호를 썼을까요? ㅋ
그나마 이렇게 전통이 잘 보존되고 있으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워낙 변화무쌍한 세상이라 더욱 그렇습니다. 특히 보수 흔적이 남은 것들보다는 다소 험해도 과거 모습 그대로를 유지한 문화재들이 더 보기 좋은 것 같습니다
과거모습을 제대로 유지하면 좋은데 갈수록 사라지고
없어지는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거창여행 좋은 추억으로 간직될 것입니다. ^^
오래 기억에 남을것입니다
아직 못 쓰고 있는것도 잇네요 ㅋ
오늘도 흥미로운 문화재 탐방 보기만해도 재밌네요 ㅎㅎ
매주는 아니지만 한달에 한번 정도는
답사를 하려고 합니다^^
공수래님의 문화제 사랑은 모두의 귀감이 되는군요. ^^*
아휴,,귀감은요..
그냥 제멋에 돌아다닐뿐입니다 ㅎ
어..예전에 봐왔던 것과 뭔가 다른 주택 양식이네요. 툇마루가 좀 높아서 그런가요? 정온 선생님의 마지막을 알고나니 어느 시대에도 악인과 배신자가 있었던 것처럼 의인과 충신도 있었던 것 같네요. 잘 보고 갑니다아^^
아직 후손이 살고 계셔서 비교적 관리가 잘된 모습입니다
툇마루가 높은게 여늬집과 좀 다르긴 합니다
눈썰미가 역시...ㅎ
네비게이션을 이용하면 문화재 탐방을 하기가 수월해지는 군요^^
글을 읽으면서 좋은 정보를 알게 되네요^^
종류별로 다를수는 있지만 가능하리라고
생각됩니다
전 종종 활용합니다^^
고풍스러운멋이 있네요
엣 건축물이 참 보기 좋습니다^^
공수래공수거님 덕분에 전국 문화재 공부 잘하고 있습니당 ㅎㅎ
아직 1%도 못 다녔습니다 ㅎ
굉장히 역사의 지식이 빠삭하신 것 같아요.
사진도 잘봤습니다.
여기 오면 역사여행을 하게되서 배울 점이 참 많다는 생각이 들어요. ㅎㅎ
역사 지식..별로 아는거 없습니다
그냥 일반 수준입니다 ㅎ
쉽사리 따라할 수 없는...
흉내낼 수 없는 고귀한 정신들.
최소한 배움으로라도 알아야 하고, 느껴야 하는 것 같아요.
다니다 보니 조금씩 느낄수 있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