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화산을 올라 갔다 내려 오면서 집으로 오는 길에 들른 인각사다
인각사는 팔공산 은해사의 말사로 큰 규모가 아닌 작은 사찰이지만 고려 후기의 고승 일연선사(1206 ~ 1289)가
생애의 마지막 5년을 머물며 『삼국유사』라는 민족의 고전을 완성한 성지같은 곳이다
일연선사는 충렬왕때 보각국사로 책봉 되었으며 이곳에서 입적하였다
인각사는 신라 선덕여왕 11년(642)에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절 입구에 있는 깎아지른 듯한 바위에
기린이 뿔을 얹었다고 하여 절 이름을 인각사라 하였다고 전한다.
인각사는 언제 세워졌는지 문헌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발굴조사 때 대웅전터로 생각되는 건물이 있던 곳에서 통일신라시대의 건물터를 확인하여,
신라 후기에 이미 있었던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지금의 인각사에는 법당과 두 채의 건물이 남아 있으며,
중요문화재로 인각사 보각국사 탑과 비(보물 제428호)가 있다.
여기는 2014년 말 다녀 와서 6년만에 다시 온곳이다
☞ 2015/01/05 - [인상 깊은곳] - 삼국유사가 집필된곳-인각사
보이는곳이 화산이다
사적 374호 인각사지
일연선사와 삼국 유사 특별전이 법당안에 전시되고 잇다
일연 선사 초상
극락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軍威 麟角寺 普覺國師塔 및 碑)-보물 제428호
고려 충렬왕 15년(1289)에 입적한 보각국사 일연의 사리탑과 그의 행적을 기록해 놓은 탑비이다.
탑은 자연석으로 된 바닥돌 위에 8각의 아래받침돌을 놓았는데 윗면이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가운데받침돌 역시 8각으로, 동물을 조각하였으나 뚜렷하지 않다.
윗받침돌은 8각이지만 원형에 가깝고, 단조롭고 소박한 연꽃이 새겨져 있다.
탑몸도 8각으로 정면에는 ‘보각국사정조지탑’이란 탑이름이 있고, 뒷면에는 문모양의 조각이 있으며
남은 6면에는 사천왕입상(四天王立像)과, 연꽃 위에 서있는 보살상(菩薩像)을 새겼다.
지붕의 두꺼운 추녀 밑은 위로 느리게 들려 있고, 낙수면은 급한 편이며 지붕선 끝부분에 꽃장식이 달려 있다.
지붕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큼직하게 올려져 있다.
탑비는 국사의 제자인 법진에 의하여 세워졌다.
비문은 당시의 문장가인 민지가 왕명을 받들어 지었으며, 글씨는 진나라까지 가서 왕희지의 글씨를
집자(集字)하여 만들었다.
지금은 비의 형체가 많이 훼손되었으나 다행히 비문은 오대산 월정사에 사본이 남아있다.
비문에 의하면 비를 세운 시기가 충렬왕 21년(1295)이므로, 부도탑의 건립 역시 일연이 입적한 해인 1
289년에서 1295년 사이의 일로 짐작된다.
삼성각
군위인각사석불좌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9호),
삼국 유사의 내용들이 조각 조각 기억이 난다
☞ 10월 3일 아내,친지
'인상 깊은곳 > 산_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군위 여행 ) 인각사지터 -사적 제374호,인각사 (79) | 2020.11.21 |
---|---|
팔공산 단풍-파계사 입구 ( 10월 31일 ) (169) | 2020.11.05 |
대구 앞산 ( 658M ) 산행,정상 (153) | 2020.11.02 |
팔공산 수태골 단풍-시월 마지막날 ( 10월 31일 ) (124) | 2020.11.01 |
(예천 여행 ) 비룡산 장안사 ( (長安寺) (72) | 2020.10.24 |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 법보종찰 해인사 (82) | 2020.09.13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저도 열심히 더 인생을 살고서 나중에 공수래공수거님 처럼 많은곳을 다니고 느끼고 싶습니다! 오늘도 공유해주신 장소 너무나 좋네요! 토요일인데 일 다녀와서 지친몸 이끌고 눕고싶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습니다 ㅜㅜ 내일은 근교라도 가고싶네요! ^^
지금도 한달에한번정도 가족들과 다니시면 되십니다 ㅎ
근교는 잘 다녀 오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잘 보고 가요!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
기분좋은 한주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의 절은 우리나라만의 느낌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가본 외국이라고 해봤자 일본 뿐이라서 다른 나라의 절들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한국과 일본의 절은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낍니다.
한구과 일본의 절 ,
조금 분위기가 다르죠,,,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았는 알본식 사찰을 봐도 그렇더군요
뭔가 이런곳을 보면 힐링도 되고,
이런 곳 주변에서 멍때리면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진만 봐도 힐링되네요. ^^
이곳 아래쪽에 냇가도 잇어 좋습니다
사색할만한곳입니다,
자료 조사를 진짜 많이 하셨어요. 😃
바닥에 저 돌들이 터만 남은 흔적인데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거군요.
신기합니다.
그래서 사적지가 되었습니다,
자료 조사는 글 쓰기전에 조금씩 하기는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말 분위기 좋네요, 공감 누르고 가요~
종일 쌀쌀하네요; 감기 조심 하시구요!
즐겁고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엄천난 세월을 같이한 사찰이네요.
도시 근처지만 한적해보셔서 다녀가실때마다 마음이 편안하실것 같습니다.ㅎ
좋은 주말보내세요.
군위에서도 내륙으로 좀 들어 가야 합니다
가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삼국유사를 집필한 곳이군요. 인각사 라는 곳은 처음 알았는데 덕분에 잘 보고 갑니다~
군위에서 제일 유명한 사찰입니다^^
삼국유사가 집필 된 곳이네요~ 잘 보고 갑니다^^
네 이곳 인각사에서 삼국 유사가 씌여졌다 합니다.
삼국유사의 고장이군요~~
공공님께서는 참 유식하신 것 같아요 ^^
포스팅도 허투루 안하시는듯 합니다~~~
전혀 유식하지 않습니다
아는게 거의 없어 매번 자료를 찾아 봅니다.^^
역사가 깊은 사찰이 널직하니 평화롭네요
조용한 사찰이었습니다^^
자연과 어우러지는 안각사 절이 참 멋지네요. 오랜기간 참 잘 관리하고 유지되어있는거 같아요.
군위가면 한번 찾아 볼만한곳입니다.
인각사... 처음 들어보는 절이지만
포스팅 모습을 보니 마음에 드네요.
기억해두겠습니다.
삼국유사가 씌여진 사찰입니다.
과거에는 상당히 번성했을 사찰로 보입니다.
그렇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오오......사진보니까 마음이 평온해지네요 ㅎㅎ
사찰은 항상 평온한 기분이 듭니다.
한국적인 느낌이 많이 풍기는 지역 중 하나인 것 같아요
이런곳 찾으면 마음이 평온해집니다.
역사가 깊은 사찰이군요?
덕분에 잘 감상하고 갑니다.
이런곳을 유서 깊은 사찰이라 그러죠^^
미륵사지도 그렇고 인각사지도 그렇고, 세월의 풍파로 예전의 모습을 잃었다는 게 아쉽게 느껴지네요.
그래도 이만하기 다행입니다^^
삼국유사... 내용들이 제 머리속에서는 거의 지워진듯해요. ㅎㅎ
좋은 곳에 잘 들르셨네요.
가족들만 오케이 한다면 언젠간 가볼 수 있을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
산소 방문시 한번 들러 보시기 바랍니다^^
처음 들어보는 절집입니다.
유난히 평평하고 너른 마당을 가진.
보궁형 닫집 아래 일연스님 초상화를...
그래도 되는 건가 모르겠네요.--;;;
보궁형 닫잡이 뭔지 몰라 찾아 보았네요 ㅎㅎ
제가 찾아본 자료에는 스님에게도 혀용되었다고 나오는군요^^
(한국콘텐츠진흥원)
아~ 그렇군요.
어찌되었든 첨 보는데,
최고의 예우를 하는 경우에
허용한다고 이해하면 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