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공공(空空)의 시선

인상 깊은곳

( 칠곡 ) 사양서당.경수당,강원형애국지사기념비,혜사정,신동입석

空空(공공) 2016. 7. 23. 05:30
반응형

집으로 돌아가는길..

바쁜것도 없고 가는도중 갈색표지판이 있으면 찾아가 보기로 했다

 

제일 먼저 만나게 된곳이 사양서당 강당이었

아쉽게도 문이 잠겨있어 안으로는 들어가지 못하고 밖에서 건물을 보았다

문은 보수중이었다

밖에서 본 기둥이 참 옛스러웠다

사양서당강당 ( 경북문화재자료117호) 

이 건물은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의 학문연마와 강학지소였던 사양서당의 강당이다. 당시 향인들이 칠곡면 사수동(泗水洞)에 한강을 기념하기 위해 1651년(효종 2)에 서당을 창건하고 한강을 주벽(主壁)으로 하여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를 배향하였다. 창건 당시에는 묘우(廟宇)와 강당, 폄우재(貶愚齋), 정완재(訂頑齋), 봉하문(鳳下門), 양현청(養賢廳), 주고(廚庫) 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지금의 강당인 경회당(景晦堂)만 남게 되었다. 1694년(숙종 20)에 현재의 장소로 이건하면서 송암(松巖) 이원경(李遠慶)도 함께 배향하게 되었다.

 경회당은 북향으로 정좌한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어칸의 우물마루를 중심으로 좌우로 온돌방을 두고 좌우퇴칸의 전면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막돌기단 위에 자연석 주초를 놓고 기둥을 세웠는데 전면에만 원주를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방주를 사용하여 주두 위에는 이익공으로 장식한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경상북도문화재 홈페이지에서 인용)

 

다음으로 찾은곳은 경수당이다

찾아가기가 쉽지 않았다..입구의 안내 표지판이 조그마해서 지나치기가 십상이다

경수당 (경북문화재 자료 제583호)

 경수당은 조선 중기 유학자 석담 이윤우(1569-1634)가 세거하던 자리에 지어진 주택으로 대한제국 말기에 법무부 형사국장을 지낸 바 있는 김낙헌이 거주하던 집이었다. 이후 낙헌의 친구인 후석 이주후(1873-1957)가 매입하여 지천면 상지1길 45-1(경수당의 재실인 영모헌이 있던 곳)에서 지금의 자리인 상지1길 45-1로 이거해 오면서 벽진 이씨 후석파종택으로 삼았다 한다. 
칠곡 신리 웃갓마을의 북쪽 끝편에 야트막한 산을 등지고 자리하였다. 800평 규모의 넓은 대지에 一자형의 대문간채, 사랑채, 안채 그리고 광채가 동향으로 나란하게 병렬 배치되어 있고 안중사랑채가 사랑채와 안채사이에 남향으로 직교 배치된 형식이다. 
경수당은 생활의 편리를 위해 창호교체와 일부 증축된 부분이 있으나 대체로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집으로 간결한 평면구조와 영남내륙지방의 분동형 배치, 그리고 사랑채의 물익공형 초각장식등은 특징적이다. 또한 조선 중기의 유구로 당시의 정치제도와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담양담 등이 남아 있다.                           ( 칠곡 군청 사이트에서 인용)

마당에 칸나가 피어 있었다

돌담길이 인상적이었다

 

다음 찾은곳은 우연하게 찾은 강원형 애국지사 기념비

그리고 신동입석 바로앞에 있는 그분의 재실 혜사정이다

강원형애국지사기념비 안내판이 칠이 다 벗겨졌다..이런거 보수하는데는 큰돈이 들지

않을텐데 국가보훈처의 세심한 관리가 아쉽다

강원형은 구한말 국권회복운동과 을사조약 반대 투쟁을 전개한 독립지사이다. 강원형은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동리에서 태어났다. 1895년 일본의 명성황후 시해만행이 자행되자 이를 규탄하는 구국상소를 올렸다. 1904년 2월 일본이 러·일전쟁을 도발하고 일본군을 한국에 상륙시켜 「제 1차 한일의정서」를 강제 체결해서 내정을 간섭하며 침략정책을 강화했다. 그러자 1905년 1월 대한십삼도유약소(大韓十三道儒約所)를 설치하고 그 수좌가 되어 일본공사관에 항의공함을 보내어 일본의 침략정책과 내정간섭을 규탄하고 반성을 촉구했으며, 일본이 계속 내정간섭을 자행할 때에는 결사적으로 이에 맞서 싸울 결의를 전달하였다. 1905년 3월 일본 헌병대가 전참판 최익현, 전판서 김학진, 비서승 허위 등 3인을 일제 침략정책을 규탄하는 격문을 돌렸다 하여 구속하자, 강원형은 일본군 사령부에 항의공함을 보내어 일본의 불법을 힐문하고 3인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또한 대한13도유약소의 대표로서 각국 공사관에 공함을 보내어 일본의 교활한 침략정책을 규탄하고 3인의 구속에 대한 공개담판을 요구하였다. 강원형 등의 이러한 운동으로 3인은 석방되었으나 강원형은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어 45일간 구속되었다. 1905년 5월에 석방된 후에도 일본의 배신과 침략정책을 규탄하는 항의공함을 일본 공사관에 여러 차례 발송하였다. 1905년 11월 일제가 무력으로 고종과 대신들을 위협하여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고 국권을 박탈하자, 통분을 이기지 못하여 곧 13도 유생 연명소(聯名疏)에 우두머리가 되어 상소를 올리고 「을사조약」의 파기와 을사5적의 처단을 요구하고, 일본 공사의 횡포무례를 엄징할 것을 요구했으며, 같은 뜻을 시민들과 세계에 성명하여 시민들의 국권회복에의 궐기를 호소하였다. 이로 인하여 1905년 11월 28일에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4개월간 투옥되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80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국가보훈처 사이트에서 인용)

 

혜사정(蕙社亭) - 경북 칠곡 지천 
소 재 지: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심천리 산103

성 격: 재실 
양 식: 근대 한옥 
건립시기: 현대, 1956년 
정면칸수: 5칸 
측면칸수: 1칸 반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심천리 산 103번지에 있는 혜사정(蕙社亭)은 혜사(慧社) 강원형(姜遠馨)
을 추모하는 재실로 1956년 건립하였다. 강원형은 본관이 진주이고 자는 성윤(聖允)이다. 1862년
에 문과에 합격하여 승정원 가주서(假注書)와 홍문관 시독을 지냈다. 1905년 10월 을사조약이

 되자 13도 유생과 함께 오적신 배척상소를 하다 체포되었으며, 그 후 홍문관 시강(侍講), 봉상시사(奉常寺典司), 비서랑(秘書郞) 등을 지내다 귀향하였다. 

혜사정의 형태는 구릉에 위치하며, 대지 주위에 방형의 토석담을 쌓고 대문채인 솟을삼문과 혜사
을 ‘二’자형으로 건축했다. 종도리 밑면에 “단기(檀紀) 4289년 병신 3월 19일 오시(午時) 입주
상량(立柱上樑)”이란 기록이 있어 1956년에 지었음을 알 수 있다.

남향하는 혜사정은 ‘ㄱ’자형으로 정면 5칸, 측면 3칸의 전후퇴집이다. 평면은 서편으로 치우친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두고, 좌측 온돌방 앞에 1칸 크기의 누마루가 돌출한 형태이다
온돌방과 대청 앞에 반칸 폭의 툇마루를 길게 시설했다. 우측의 누마루 주위에는 전통적인 계자
 난간의 형태를 철재로 번안하여 철관과 철판을 용접하여 만든 난간을 둘렀다.

혜사정의 구조는 대들보와 종보를 겹쳐 올린 5량가이다. 장대석을 쌓고 바닥을 인조석으로 마감
기단에 다듬은 초석을 놓고 기둥을 세웠다. 기둥은 정면과 우측면 앞쪽에만 원기둥을 쓰고, 나머
는 네모기둥을 사용했다. 팔작지붕에 한식기와를 덮었으며, 처마는 부연을 단 겹처마이다. 기둥 
에는 익공쇠서를 둥글게 조각한 물익공을 끼워 장식했으며, 주간에는 소로를 끼워 수장했다. 혜사정 남쪽의 대문채는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로, 가운데 칸의 지붕이 한 단 높은 솟을삼문 형식으
로 지었다.

혜사정은 1956년에 지은 현대 재실 건축으로 평면 구성과 사용 재료 면에서 현대적인 성격이 강하
다. 전통적인 재실 건축에 근대 이후의 합리적인 사고가 반영되어 나타난 현대 재실 건축의 새 경
향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혜사정은 현재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건물의 보존에 어려움이 있다.
〈디지털칠곡문화대전 참고〉

 

 

혜사정 바로 뒷편에는  우리나라의 남아 있는 선돌중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선돌인 신동입석

이 있다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지 잡초가 무성했다

신동 입석 (경북기념물 제29호)

 신동입석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선돌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높이가 4.5m, 밑둘레 2m이며 묘의 면적은 897㎡이다. 이 선돌의 동쪽 주변을 개간할 때 민무늬토기[無文土器]와 돌도끼 등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청동기시대 고인돌[支石墓]임을 알 수 있다. 낙동강을 끼고 구릉지에 모여 살던 선사인들이 남긴 유물로 조상신을 숭배하거나 묘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 것으로 보인다. 

선돌의 아랫부분에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는데, 이것은 후세 사람이 새긴 것이다. 선돌의 중앙 부분에는 부러진 흔적이 있는데 원래는 현재의 윗부분도 부러져 셋으로 동강나 있는 것을 보수하여 세웠다. 

* 청동기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입석 *

입석은 다른 말로 선돌이라고 부르는데, 고인돌과 함께 청동기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유물이다. 일반적으로 땅 위에 한 개 또는 몇 개의 큰 돌기둥을 세운 형태를 하고 있는데, 당시 부족간의 경계표시 또는 신앙의 대상이 되는 기념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 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 인용)

다니면서 갈색표지판을 따라 가다 보면 몰랐던 문화재들을 볼수가 있다

예상없이 찾은 문화재들..그리고 그 흔적.. 잘 보존되어야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