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공공(空空)의 시선

인상 깊은곳/서원_향교

( 김천 ) 김산 향교

空空(공공) 2016. 8. 3. 05:30
반응형

직지사 갔다 오는길..

시간이 조금 여유가 있어 인터체인지에 올리기전 갈곳으로 택한게 김산향교다

다른곳과 달리 여기는 안내해 주시는분이 계시는게 특이했다

문화해설사신지,관리인인지 확인은 못했다 ㅡ.ㅡ;;

 

많은 분들이 보셔야 보람을 느끼실텐데..

( 김산 향교: 문화재자료 제 257호)

 1392년(태조 1)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임란 때 전소된 것을 1634년(인조 12) 진사(進士) 강설(姜渫)이 대성전과 명륜당을 중건하고 그의 아들 강여구(姜汝榘)가 동·서재, 동·서무, 내삼문을 중건했다. 6.25 전란 이후 방치되어 퇴락한 향교를 전교(典校) 현경길(玄慶吉)이 1975년과 1979년 두 번에 걸쳐 대대적으로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향교는 교동 산중턱 급한 경사지를 3단으로 구획한 기단 위에 남향으로 앉아 있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명륜당과 동·서재가 강학공간을 이루고 있고 그 뒤편 높은 곳에 내삼문·동무·대성전으로 구성된 문묘공간이 일곽을 형성하고 있다. 전학후묘 배치형식을 취하며 일반적으로 동·서재를 명륜당 앞에 두는 것과는 달리 뒤에 놓았다. 대성전은 막돌허튼층쌓기한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원주를 세운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정면 3칸에는 각 칸마다 두짝 울거미널 출입문을 달고 좌·우측면 중앙칸 중방 위에는 붙박이 광창을 시설했다. 내부 바닥은 장마루로 꾸며져 있다. 기둥 상부의 공포는 외일출목 이익공계로 살미의 끝이 소혀처럼 날카롭게 뻗어 있으며, 살미 하부는 쌍S자로 초각되어 있다. 주심첨차는 교두형으로 하고 외목도리 밑의 행공첨차는 하부를 살미처럼 초각하고 마구리를 빗 깎았다. 창방 위에는 익공계의 기본 구성요소인 화반을 두지 않고 심벽으로 처리했는데 이런 모습은 흔치 않다. 2고주 5량가의 대량 위에 동자주를 세워 보아지와 뜬창방을 교차시키고 그 위에 종량을 올려 놓았다. 종량 위에는 뜬창방이 직교한 제형판대공이 놓여 있고 뜬창방과 장혀 사이에는 소로가 2개씩 끼워져 있다. 동무는 방주를 세우고 3량가 굴도리 장혀 수장집으로 꾸민 홑처마 맞배지붕집이다.
 명륜당은 경사진 대지로 인해 정면은 루각 형식을 취하고 배면은 단층을 이루고 있다. 평면은 중앙에 넓은 대청을 두고 그 좌우에 온돌방을 둔 보편적인 중당협실형으로 앞쪽에는 계자각 헌함을 설치했다. 대청과 방 사이의 좌·우측면 경계벽 각칸에 창호가 시설되어 있는데, 좌측에는 외짝 굽널띠살문이, 우측에는 두짝 굽널띠살문이 달려 있다. 막돌허튼층쌓기한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대청 좌측 내부 두 기둥을 제외하고 모두 원주를 세웠다. 공포는 초익공계로 날카롭게 뻗은 살미 상·하부를 둥글게 초각하고 창방과 장혀 사이에는 소로를 끼웠다. 가구는 5량가로 대량 위에는 보아지에 첨차를 결구하고 접시받침을 놓은 중대공을 놓고 종량을 얹은 후 종량 위에 첨차를 끼운 파련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받치고 있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동·서재는 2칸 온돌방과 1칸 부엌을 두고 정·배면에 각기 툇마루를 시설했다. 툇마루를 앞 뒤 모두에 둔 경우는 찾아 보기 어렵다. 건물은 모두 방주를 세우고 5량가 굴도리 장혀수장집으로 꾸민 홑처마 맞배지붕 집이다.           ( 경상북도 지정문화재 정보화 시스템에서 인용)

1896년 항일 투쟁을 위한 의병의 창의지였다는 사실이 더 가슴에 남았다